직원 이탈 느는 GGM, 실질 소득 보장 대책을
2022년 06월 10일(금) 00:05 가가
‘광주형 일자리’ 사업으로 어렵사리 탄생한 광주글로벌모터스(GGM) 직원들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기존 완성차 업체 임금의 절반 수준을 지급하는 대신 복리·후생 비용 지원 등 ‘사회적 임금’으로 보전하겠다던 정부와 광주시가 약속 이행은커녕 구체적인 계획조차 내놓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광주시와 GGM은 지난 2019년 법인 설립 당시 복리·후생 등 공동 복지 프로그램을 보장해 직원들의 실질 소득을 높이는 내용의 ‘노사상생 발전 협정서’를 체결했다. 하지만 이 같은 약속은 지금까지도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다.
광주시는 애초 근로자 1인당 연 600만∼700만 원의 사회적 임금 혜택을 약속했다. 한데 현재 공동 복지 프로그램에 지원해 주는 비용은 1인당 연 평균 161만 원에 불과하다. 특히 가장 기대감이 컸던 주거 지원 정책도 정부와 광주시의 관련 예산 미확보 등으로 난항을 겪고 있다. 주거 지원비는 전체 직원 620명 중 193명에게만 매달 20만 원씩 지원되고 있다.
문제는 광주시가 손을 놓고 있는 사이 기대에 못 미치는 낮은 급여와 높은 업무 강도를 버티지 못한 일부 직원들이 이탈하고 있다는 점이다. 사원의 연 평균 임금은 3500만 원으로 알려져 있지만, 신입 사원의 경우 근무 시간과 계약 조건에 따라 2900만 원 수준의 임금을 받고 있다. 이로 인해 지금까지 퇴사한 직원이 50여 명에 이른다.
GGM은 국내 최초의 노사 상생형 일자리인 만큼 노사가 약속을 제대로 지켜 신뢰를 확보하는 게 중요하다. 행여 GGM이 삐걱거리면 광주시가 추진 중인 ‘제2의 광주형 일자리’는 물론 기업 유치와 지역 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정부와 광주시, GGM은 직원들에게 실질 소득을 보장할 수 있는 복지 대책을 신속히 마련해 지원에 나서야 할 것이다.
광주시는 애초 근로자 1인당 연 600만∼700만 원의 사회적 임금 혜택을 약속했다. 한데 현재 공동 복지 프로그램에 지원해 주는 비용은 1인당 연 평균 161만 원에 불과하다. 특히 가장 기대감이 컸던 주거 지원 정책도 정부와 광주시의 관련 예산 미확보 등으로 난항을 겪고 있다. 주거 지원비는 전체 직원 620명 중 193명에게만 매달 20만 원씩 지원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