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역사도시 목포, 역사공간 보존·활용 속도
2021년 03월 24일(수) 00:30
건축자산 보수·정비계획 완료…스토리텔링 콘텐츠 추진
‘호남은행 목포지점’ 등 10채 매입 문화예술공간 재구성

목포시가 근대역사문화공간의 건축자산을 보수·정비해 재활용하는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사진은 옛 목포세관 본관 터와 창고 전경. <목포시 제공>

목포시가 ‘근대역사문화공간 재생 활성화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23일 목포시에 따르면 목포근대역사문화공간은 만호·유달동 일대 11만4000여㎡로 지난 2018년 국내 최초로 점 단위가 아닌 면 단위 국가등록문화재(제718호)로 지정됐다.

조선시대 목포진부터 근대의 관공서, 주거, 상업시설 등 풍부한 역사문화자산이 밀집해있는 지역이다.

노동 운동, 소작 쟁의, 항일운동 등 일제강점기 당시 민중의 저항이 펼쳐진 공간으로서 3대항 6대 도시였던 과거 목포의 역사가 응축돼 있어 ‘지붕없는 근대역사박물관’으로도 불린다.

근대역사문화공간 재생 활성화 사업은 근대역사문화공간의 건축자산을 보수·정비하고 역사문화공간을 재활용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지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5년 동안 추진한다.

목포시는 사업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지난해 12월까지 종합정비계획을 수립했다.

이를 토대로 올해부터 구체적 성과를 도출하기 위해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해부터 근대문화자산 아카이브 구축 용역과 근대건축자산 정밀실측 용역도 실시 중이다.

기록화한 데이터베이스를 다각도로 스토리텔링해 목포의 역사문화적 가치를 알리는 새로운 콘텐츠로 개발할 예정이다.

근대역사문화의 가치와 매력을 체계적으로 보존하기 위해 올해 안에 원도심 일대의 역사문화환경 보존을 위한 국·도 지정문화재 현상변경 허용기준(안) 수립 용역과 홍보 등 실용적인 안내를 위한 종합활용계획 수립을 추진할 계획이다.

목포시는 제도적·행정적 장치 뿐만 아니라 근대역사문화자산의 실질적인 활용방안도 차근차근 마련해가고 있다.

목포시는 근대건축자산 전수조사와 문화재청 및 자문위원회 협의를 통해 현재까지 공간 내 공적 활용 가능한 건축물 총 10채를 매입했다.

호남 최초 민족계 은행으로서의 상징성을 지닌 ‘옛 호남은행 목포지점’(등록문화재 제29호)과 근대 가장 번화했던 조선인 가게 ‘옛 갑자옥 모자점’, 1950년대 건축양식을 엿볼 수 있는 해안로의 ‘옛 대광전자 2층 상가건물’ 등이 대표적이다. 옛 갑자옥모자점을 비롯한 매입 건축물들도 건축 당시 원형 복원을 목표로 보수·정비한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목포만의 매력을 느낄 수 있는 새로운 문화예술공간으로 재구성하고, 거리 곳곳에 근대적 경관의 야외공간을 조성해 휴식과 전시 공간으로 활용할 방침이다.

/목포=문병선 기자·서부취재본부장 moon@kwangju.co.kr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