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 대비는 무슨”…광주·전남 노인들 당장 생계가 걱정
2025년 10월 28일(화) 20:05 가가
노인인력개발원 ‘일과 삶’ 연구…고령 인구 전국 평균 크게 웃돌아
일자리 턱없이 부족…70세 이상 대부분 월소득 100만원도 안돼
일자리 턱없이 부족…70세 이상 대부분 월소득 100만원도 안돼
광주·전남 고령화가 가속하는 가운데 노후 대비는커녕 생계를 잇기도 힘든 노인이 늘어나고 있다.
28일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광주·전남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75만6120명으로, 전년 같은 달(72만2921명)보다 3만3199명(4.6%) 증가했다.
광주·전남 고령 인구 비중은 전체(318만여명)의 23.8%로, 전국 고령 인구 비중 20.8%를 크게 웃돈다. 전남 고령 인구 비중은 28.1%(178만명 중 50만명)로,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높다.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24 제1차 한국 어르신의 일과 삶 패널 연구’를 보면 지난해 6월 말 기준 60~74세 노인 일자리 참여자는 광주 1만7105명·전남 2만5357명 등 4만2462명으로 집계됐다. 두 지역 모두 70세 이상 여성의 비중(광주 36.8%·전남 45.7%)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광주·전남 노인 일자리 참여자는 전국(46만1547명)의 9.2% 비중을 차지했는데, 고령 인구 비중이 가장 높은 전남은 5.5% 비중을 차지하는 데 그쳤다.
노인의 경제 활동을 촉진하는 노인 일자리의 인기는 갈수록 높아지지만 한정된 일자리 수 때문에 사회보장제도 혜택마저 포기하는 사례도 생겨나고 있다.
조국혁신당 김선민(비례대표) 의원이 한국노인인력개발원과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보면 2020년부터 2025년 9월까지 6년간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을 포기하고 노인 일자리에 참여한 광주·전남 지역민은 106명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전국 참여자는 829명으로, 광주·전남은 12.8% 비중에 달했다. 가난으로 인한 생계 압박 때문에 건강 위험까지도 감수하는 지역민이 그만큼 많다는 뜻이다.
마땅한 일자리가 없는 탓에 노인들의 생계는 더욱 팍팍해지고 있다.
전남도 사회조사를 보면 지난해 전남에서 70세 이상 지역민의 절반(49%)은 한 달 100만원도 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월 300만원 이상 소득이 있는 70세 이상은 12.5%에 불과했다. 60대의 14.8%도 월평균 소득이 100만원이 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일자리를 구하지 못해 거리로 나서 폐지를 줍는 노인은 지역에서 수천 명에 달한다. 한국노인인력개발원 ‘폐지수집 노인 실태조사’를 보면 폐지 수집 노인은 광주 1761명·전남 1752명 등 3500여 명으로 추정된다.
노인 빈곤 문제가 심화하는 가운데 노인 복지·건강 지원의 중추적인 역할을 할 사회서비스원 종합재가센터는 광주·전남에서 오히려 감축됐다.
종합재가센터는 올해 9월 기준 광주 1곳·전남 2곳으로, 광주에서는 지난 2023년 3곳이던 센터가 이듬해 1곳으로 줄었다. 이 때문에 광주 종합재가센터 이용자는 2023년 1만2947명에서 1년 새 7948명으로, 반 토막(-38.6%) 났다. 올해 9월 기준 센터 근무 인력은 광주가 전년 말 68명에서 38명으로 줄었다. 같은 기간 전남 근무 인력은 7명 늘었는데, 이용자 수는 172명 늘어 수요를 따라잡기에는 부족했다.
사회서비스원의 핵심 사업인 종합재가센터는 전문 인력이 집을 찾아가 방문목욕과 돌봄, 가사 지원, 병원 동행 등을 제공하고 있다.
김선민 의원은 “국가의 돌봄이 필요한 노인들이 생계 때문에 위험을 감수하며 일자리로 내몰리는 현실은 노인 빈곤의 심각성과 복지, 노동 정책의 구조적 엇박자를 대변한다”며 “기초연금 강화 등을 통한 근본적인 생계 보장과 더불어 노인 일자리 사업 선발 때 보다 객관적인 안전·건강 평가 지표 도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
28일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광주·전남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75만6120명으로, 전년 같은 달(72만2921명)보다 3만3199명(4.6%) 증가했다.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24 제1차 한국 어르신의 일과 삶 패널 연구’를 보면 지난해 6월 말 기준 60~74세 노인 일자리 참여자는 광주 1만7105명·전남 2만5357명 등 4만2462명으로 집계됐다. 두 지역 모두 70세 이상 여성의 비중(광주 36.8%·전남 45.7%)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광주·전남 노인 일자리 참여자는 전국(46만1547명)의 9.2% 비중을 차지했는데, 고령 인구 비중이 가장 높은 전남은 5.5% 비중을 차지하는 데 그쳤다.
마땅한 일자리가 없는 탓에 노인들의 생계는 더욱 팍팍해지고 있다.
전남도 사회조사를 보면 지난해 전남에서 70세 이상 지역민의 절반(49%)은 한 달 100만원도 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월 300만원 이상 소득이 있는 70세 이상은 12.5%에 불과했다. 60대의 14.8%도 월평균 소득이 100만원이 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일자리를 구하지 못해 거리로 나서 폐지를 줍는 노인은 지역에서 수천 명에 달한다. 한국노인인력개발원 ‘폐지수집 노인 실태조사’를 보면 폐지 수집 노인은 광주 1761명·전남 1752명 등 3500여 명으로 추정된다.
노인 빈곤 문제가 심화하는 가운데 노인 복지·건강 지원의 중추적인 역할을 할 사회서비스원 종합재가센터는 광주·전남에서 오히려 감축됐다.
종합재가센터는 올해 9월 기준 광주 1곳·전남 2곳으로, 광주에서는 지난 2023년 3곳이던 센터가 이듬해 1곳으로 줄었다. 이 때문에 광주 종합재가센터 이용자는 2023년 1만2947명에서 1년 새 7948명으로, 반 토막(-38.6%) 났다. 올해 9월 기준 센터 근무 인력은 광주가 전년 말 68명에서 38명으로 줄었다. 같은 기간 전남 근무 인력은 7명 늘었는데, 이용자 수는 172명 늘어 수요를 따라잡기에는 부족했다.
사회서비스원의 핵심 사업인 종합재가센터는 전문 인력이 집을 찾아가 방문목욕과 돌봄, 가사 지원, 병원 동행 등을 제공하고 있다.
김선민 의원은 “국가의 돌봄이 필요한 노인들이 생계 때문에 위험을 감수하며 일자리로 내몰리는 현실은 노인 빈곤의 심각성과 복지, 노동 정책의 구조적 엇박자를 대변한다”며 “기초연금 강화 등을 통한 근본적인 생계 보장과 더불어 노인 일자리 사업 선발 때 보다 객관적인 안전·건강 평가 지표 도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