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학습병행제’ 실효 높이고 ‘산학겸임교사’ 도입 절실
2025년 10월 25일(토) 10:00 가가
기능영재들의 땀방울 결실 맺으려면 <하>
정부, 학교, 기업, 지자체 '거버넌스' 구축해 특성화고 살려야
학교와 기업, 교육과정 공동 운영 독일 모델 적극 접목 필요
정부, 학교, 기업, 지자체 '거버넌스' 구축해 특성화고 살려야
학교와 기업, 교육과정 공동 운영 독일 모델 적극 접목 필요
“학생들이 비정규직 가려고 3년간 열심히 한 게 아니죠..”
광주시교육청 A장학사는 “지역의 산업 기반이 약해 학생들은 진학을 선택하거나 타지역으로 나가고, 지역 기업은 졸업생들을 매년마다 채용하고는 있지만 비정규직으로 채용한다”며 답답한 현실을 토로했다.
반면 광주의 한 중견업체 관계자는 “병역의무를 마치지 않은 학생을 정규직으로 바로 뽑는 것은 생산라인에서 큰 리스크”라며 “또한 학생의 역량을 모르는데 어떻게 처음부터 정규직으로 뽑느냐”며 반문했다.
학교와 학생은 ‘양질의 일자리’를, 기업은 ‘검증된 인력’을 원한다. 그러나 양측의 시선은 여전히 좁혀지지 않는다. 학교와 산업 현장의 괴리를 보여주는 단면이다.
전문가들은 산업 현장의 괴리를 완화하는 방안으로 ‘산학겸임교사’를 꼽는다. 산학겸임교사는 산업현장에서 5년 이상의 경험을 쌓은 기술인이 학생들에게 직접 기술을 전수함으로써 실무 중심의 교육 효과를 높이는 제도이다.
전남도교육청 관계자는 “산학겸임교사는 현장에서 필요한 기술을 학생들에게 전수해줄 수 있어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최동선 부장은 “(신학협력교사는)단순한 기술 교육을 넘어 산업 현장의 조직문화와 분위기까지 전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며 “교육부에서 산업계 인사가 교사로 활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한 ‘일학습병행제’의 내실화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 제도는 학생이 기업과 학교를 오가며 기업에서는 실무를 익히고 학교에서는 이론을 배우도록 설계된 제도이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인식부족과 산업기반의 한계로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많다.
고용노동부 고용정책심의회 고혜원 위원은 “일학습병행제는 산학연계의 중요한 축이지만 학부모와 학생, 기업 모두의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며 “도제학교 졸업생이 지역 기업에 취업해 정착할 수 있도록 지자체의 지원이 강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허영민 연구원은 “직업계고의 문제는 학교의 노력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며 “정부, 지자체, 기업, 교육청이 협력하는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져야 교육과 산업이 연결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양질의 일자리를 지역 내에 만드는 것이 가장 시급하며, 학교에만 취업률 제고를 맡기는 것은 가혹하다”고 지적했다.
광주시교육청 김비룡 장학사도 “학교 차원에서의 노력이 중요하지만 지자체와 기업도 함께 노력해야 한다”며 지자체에서는 우수 기업을 끌어들이는 방법을 모색하고, 교육청도 협력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실제로 독일의 직업교육 시스템은 이러한 지역 협력의 모범 사례로 꼽힌다. 독일은 ‘이원제 교육’(duale Ausbildung)을 통해 학교와 기업이 교육을 공동 운영하며, 지자체·연방정부가 함께 참여하는 체계를 갖추고 있다.
연방정부는 직업교육법 (BBiG)을 통해 이원제 교육에 대한 기본적인 규정과 지침을 설계한다. 학생들은 학교에서 이론을 배우고 동시에 기업에서 실습을 하며 실무 경험을 쌓는다. 이 과정은 국가가 아닌 지역이 관리하며, 기업은 현장 교육의 주체로 자리 잡고 있다.
한국직업능력 연구소 유진영 연구원은 “독일은 지역 거버넌스 협력 체계가 표준”이라면서 “연방정부가 교육제도를 설계하되, 실질적 운영은 지역이 맡는다. 우리나라도 교육·기업·지자체가 각자의 역할을 명확히 분담하는 거버넌스가 뿌리내려야 직업교육의 경쟁력을 높일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윤영기 기자 penfoot@kwangju.co.kr
/하성민 인턴기자 hasungmin14@naver.com
광주시교육청 A장학사는 “지역의 산업 기반이 약해 학생들은 진학을 선택하거나 타지역으로 나가고, 지역 기업은 졸업생들을 매년마다 채용하고는 있지만 비정규직으로 채용한다”며 답답한 현실을 토로했다.
학교와 학생은 ‘양질의 일자리’를, 기업은 ‘검증된 인력’을 원한다. 그러나 양측의 시선은 여전히 좁혀지지 않는다. 학교와 산업 현장의 괴리를 보여주는 단면이다.
전문가들은 산업 현장의 괴리를 완화하는 방안으로 ‘산학겸임교사’를 꼽는다. 산학겸임교사는 산업현장에서 5년 이상의 경험을 쌓은 기술인이 학생들에게 직접 기술을 전수함으로써 실무 중심의 교육 효과를 높이는 제도이다.
또한 ‘일학습병행제’의 내실화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 제도는 학생이 기업과 학교를 오가며 기업에서는 실무를 익히고 학교에서는 이론을 배우도록 설계된 제도이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인식부족과 산업기반의 한계로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많다.
고용노동부 고용정책심의회 고혜원 위원은 “일학습병행제는 산학연계의 중요한 축이지만 학부모와 학생, 기업 모두의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며 “도제학교 졸업생이 지역 기업에 취업해 정착할 수 있도록 지자체의 지원이 강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허영민 연구원은 “직업계고의 문제는 학교의 노력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며 “정부, 지자체, 기업, 교육청이 협력하는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져야 교육과 산업이 연결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양질의 일자리를 지역 내에 만드는 것이 가장 시급하며, 학교에만 취업률 제고를 맡기는 것은 가혹하다”고 지적했다.
광주시교육청 김비룡 장학사도 “학교 차원에서의 노력이 중요하지만 지자체와 기업도 함께 노력해야 한다”며 지자체에서는 우수 기업을 끌어들이는 방법을 모색하고, 교육청도 협력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실제로 독일의 직업교육 시스템은 이러한 지역 협력의 모범 사례로 꼽힌다. 독일은 ‘이원제 교육’(duale Ausbildung)을 통해 학교와 기업이 교육을 공동 운영하며, 지자체·연방정부가 함께 참여하는 체계를 갖추고 있다.
연방정부는 직업교육법 (BBiG)을 통해 이원제 교육에 대한 기본적인 규정과 지침을 설계한다. 학생들은 학교에서 이론을 배우고 동시에 기업에서 실습을 하며 실무 경험을 쌓는다. 이 과정은 국가가 아닌 지역이 관리하며, 기업은 현장 교육의 주체로 자리 잡고 있다.
한국직업능력 연구소 유진영 연구원은 “독일은 지역 거버넌스 협력 체계가 표준”이라면서 “연방정부가 교육제도를 설계하되, 실질적 운영은 지역이 맡는다. 우리나라도 교육·기업·지자체가 각자의 역할을 명확히 분담하는 거버넌스가 뿌리내려야 직업교육의 경쟁력을 높일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윤영기 기자 penfoot@kwangju.co.kr
/하성민 인턴기자 hasungmin14@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