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광주와 약속 꼭 지킨다”
2025년 10월 23일(목) 19:30
우상호 수석 대책회의서 밝혀
국가AI컴퓨팅센터 무산 후속대책 지시

우상호(오른쪽) 정무수석이 임웅순 국가안보실 제2차장과 2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가 AI컴퓨팅자원센터가 전남으로 향한 뒤 대통령실이 “광주 시민께 송구하다”며 광주 미래산업 약속 이행 의지를 공식 전달했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23일 국회에서 연 긴급 대책회의 모두발언에서 “아침에 대통령께 광주의 민심을 직접 보고했다”면서 “민간기업 결정 과정은 사전·사후 개입이 어려웠다는 설명이 있었으나 대통령께서 ‘매우 안타깝고 광주 시민께 송구하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이 자리는 광주지역 국회의원들과 마련된 대책회의다.

우 수석은 이어 “대통령의 광주 약속은 변함이 없다. AI컴퓨팅센터 문제와 별개로 광주를 미래 산업 도시로 만들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강구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우 수석은 또 “광주 민심의 서운함을 잘 알고 있다. 다양한 의견을 청취한 뒤 24일 오전에 대통령께 재보고 하겠다”고 강조했다.

민간 컨소시엄의 입지 선택 배경에 대해 “정부 개입이 어려웠다”는 기류를 공유하면서도, 후속 보완 패키지의 신속한 설계를 약속한 셈이다. 민주당 안도걸 의원은 이날 긴급 대책회의에서 “광주는 문재인 정부의 ‘인공지능중심도시’ 선포 이후 AI 전용 데이터센터 구축, 전문인력 양성 등 핵심 인프라를 꾸준히 쌓아왔다”며 “대선 공약과 국정과제에 담긴 ‘국가 컴퓨팅자원센터의 광주 유치’가 좌절된 만큼 정부와 여당은 보다 실질적이고 확실한 방법으로, 그리고 신속하게 광주 비전과 정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그는 또 “광주지역 국회의원 8명이 공동성명을 통해 국가 데이터센터의 대폭 확장, 국가 AI연구소 설립, AI 산업화 실증센터 구축, AI 기반 모빌리티 시범도시 조성 등을 최소한의 대안으로 요청한 상태”라며 “광주의 위상과 역할을 확고히 세우기 위해 전방위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