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호 공약 이행’ 직접 압박…광주, 국회서 “국가AI컴퓨팅센터 광주 설립” 촉구
2025년 10월 22일(수) 14:23
대선 공약·5개년 계획 근거로 공공성·속도·집적 재확인…“기업 논리에 맡기면 AI 3강 기회 잃는다”

강기정 광주장이 22일 오전 서울 국회본관에서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만나, 이재명 대통령의 제1호 공약이자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 포함된 ‘국가AI컴퓨팅센터 광주 설립’ 이행을 촉구하고 있다. <광주시 제공>

광주가 대통령 제1호 공약 이행을 촉구하며 더불어민주당에 성명을 전달했다.

22일 광주시에 따르면 강기정 광주시장은 국회를 찾아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에게 ‘국가AI컴퓨팅센터 광주 설립’ 이행 촉구 성명을 전달하며, 대통령 제1호 공약을 정부 책임 아래 즉시 확정하라고 요구했다.

이번 방문은 전날 오후 8시 시청 중회의실에서 각계 대표가 모여 ‘광주미래산업 비상회의’를 열고 채택한 결의에 따른 것이다.

강 시장과 임택 동구청장, 채은지 시의회 부의장, 정지성 인공지능산학연협회장, 이기훈 광주시민사회지원센터장 등 5명이 대표로 참석했고, 박균택 의원이 동석했다.

성명은 신수정 시의회 의장과 5개 자치구 구청장, 시민·사회·종교계, 학계·경제계, 5·18단체 등 총 80명의 이름으로 작성됐다.

성명 골자는 이재명 대통령 대선 공약의 법적·정책적 위상과 집행 책임을 재확인하는 데 맞춰졌다.

비상회의는 국가AI컴퓨팅센터 광주 설립이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약속한 제1호 공약이자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 담긴 국가 핵심 인프라”라고 규정하고, “평가 기준이 단기 경제성으로 기울면 AI 3강 도약의 골든타임을 놓친다”고 주장했다.

특히 최근 기업이 공모 막판 다른 지역 신청으로 선회한 데 대해 “국가전략 사업이 기업 논리에 좌우돼선 안 된다”고 비판했다.

비상회의는 “광주는 이미 국가AI데이터센터와 기업·인재·실증 인프라가 집적된 최적지로, 속도와 확장성에서 경쟁 우위가 분명하다”면서 “광주 시민은 대선에서 전국 1위 투표율로 정권 교체에 힘을 보탰고, 17만 829명이 참여한 범시민 서명으로 유치 의지를 증명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 사업은 특정 지역 개발이 아니라 국가 미래산업 전략”이라며 “정부가 직접 책임지고 이행해야 할 약속”이라고 못 박았다.

비상회의는 공모 평가의 목적성 회복과 투명 공개, GPU·전력·네트워크의 단계별 투입 일정 확정·공표, 전력요금 특례 및 부지·송전·열관리 등 인프라 지원을 위한 법령 정비, 범정부-지방정부-민간 상설 공동운영기구 설치, 데이터·컴퓨팅 접근성·연구개방성·스타트업 부담 완화를 포함한 성과지표(KPI) 정례 공개를 요구했다.

민주당을 향해서는 “제1호 공약 이행 여부가 공약 실천의 바로미터”라며 정치적 책임을 물었다.

강 시장은 대표 면담 직후 지역 국회의원들과 추가 논의를 갖고 공동 대응 방안을 협의했다.

한편 광주 지역사회는 AI 중심도시의 역량을 바탕으로 범시민 대응을 이어가겠다는 방침이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