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의 민주당 공천룰 변경 요구 이유 있다
2025년 10월 22일(수) 00:20
내년 6월 3일 치러지는 지방선거를 앞두고 더불어민주당의 공천룰이 어떻게 결정될지 벌써부터 관심이 뜨겁다. 예비 후보들은 물론 시민사회에서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현재 민주당의 당내 경선은 당원투표 50%와 일반여론조사 50%로 돼 있다. 하지만 정청래 대표를 비롯해 당 지도부가 ‘당원 주권시대’를 공언하고 있고 지난 8월 2일 치러진 전당대회에서 권리당원 투표를 기존보다 5% 올려 55% 적용했던 것을 보면 권리당원 비중을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민주당은 이번 달 말부터 공천룰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에 들어갈 것으로 보이는데 당원투표 비율을 현행보다 5~10% 올릴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럴 경우 권리당원을 많이 확보한 후보가 더 유리해질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내년 지방선거에 뜻을 둔 예비 후보들이 벌써부터 권리당원 확보에 사활을 걸면서 곳곳에서 피로감이 노출되고 있는 이유다.

보다 못한 광주·전남시국회의가 민주당의 공천룰 개선을 촉구하고 나섰다. 일반여론조사 비율을 80%로 높여 일반 유권자들의 의중을 경선에 반영하라는 것이다. 광주·전남시국회의는 지역 원로와 30여개 시민단체로 구성돼 있는데 이들의 요구는 광주시민들의 의사와 같다고 할 것이다.

민주당은 갈수록 강성 지지자들의 입김에 영향을 받으면서 민심과 괴리되고 있다. 특히 텃밭인 호남에선 일당독점의 폐해가 고착화 되고 있는데 권리당원의 비중을 높인다면 민심과 더 멀어질 수밖에 없다. 괴리된 민심은 지난 2022년 지방선거에서 광주의 평균 투표율이 33.7%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최저였다는 것이 방증한다. 민주당은 시민사회의 이유있는 공천룰 변경 요구를 적극적으로 검토하길 바란다.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