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타이어 큰 불 꺼졌지만…지역경제에 ‘불똥’ 튄다
2025년 05월 19일(월) 20:00 가가
광주공장 가동 1년 이상 멈출 듯…노동자 2300명 체불·구조조정 우려
지역 산업 생태계 전반에 심각한 타격…중국자본 ‘책임 경영’ 선행돼야
지역 산업 생태계 전반에 심각한 타격…중국자본 ‘책임 경영’ 선행돼야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 발생 사흘째인 19일 광주시 광산구 금호타이어 2공장에서 국과수, 경찰, 소방 등 관계자가 화재 현장을 조사하고 있다. /나명주 기자mjna@kwangju.co.kr
광주 대표 제조기업 금호타이어 공장에서 발생한 대형 화재 여파가 지역 경제계로 확산하는 모양새다. 공장 가동이 최대 3년 이상 멈출 것이라는 예상까지 나오면서, 2300여명에 이르는 노동자는 물론 광주지역 산업 생태계 전반에도 심각한 타격이 우려되고 있다. <관련기사 6면>
더 심각한 문제는 전체 노동자의 70%가 한창 자녀를 양육하고 가계 경제를 책임져야 할 40~50대 가장들이라는 점이다. 이들의 고용이 유지되지 않을 경우 수천 가구가 생계 위협과 가정 파탄 위기를 맞이할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온다.
이에 따라 지역 경제계 등에선 자치단체와 정부 차원의 빠른 지원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지만, 일각에선 중국 자본 경영진의 고용 안정을 담보로 하는 ‘책임 경영’부터 선행돼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19일 광주시와 광산구,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등에 따르면 화재가 발생한 금호타이어 광주공장에는 기능(생산)직 1853명, 일반직 413명 등 총 2266명이 근무하고 있다. 연령별로는 20대 234명, 30대 443명, 40대 557명, 50대 1032명 등으로, 40~50대 가정 생계 책임자가 70%에 달하는 비율을 차지했다. 이들의 평균 연봉은 지난 3월 사업보고서 기준 8400만원이다.
직원 평균 연봉 8400만원을 전 직원 2200여명으로 단순 계산하더라도 매달 회사에서 지급하는 임금만 150여억원에 이르고, 연간으로는 1900억원을 넘어선다. 해당 임금은 노동자와 가족 등 1만명에 가까운 광주시민의 기본 생계를 유지하고, 지역 경제 생태계 곳곳을 풍요롭게 하는 자양분 역할을 수행해 왔다.
하지만 이번 화재로 공장 가동 중단 기간이 1~3년까지 예상되면서, 사회 허리층인 ‘40~50대 가장 노동자’를 대상으로 하는 임금 지급 불능과 대대적인 구조조정 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한국타이어도 2023년 대전공장 화재 발생 이후 일정 기간 생산이 중단됨에 따라 노동자들에게 희망퇴직을 권유하는 등 인력 구조 조정에 나선 바 있다.
특히 중국 자본 기반인 금호타이어의 소유 구조는 고용안정에 대한 불안을 더 키우는 요인이 되고 있다. 금호타이어는 2018년 중국 타이어사 더블스타에 인수됐으며, 상대적으로 국내 기업 경영진에 비해 ‘책임 경영’에 대한 의지나 인식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금호타이어 측은 지난해부터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혐의로 수사까지 받는 상황에서도, 대규모 화재에 대한 초기 대응 미흡, 낮은 수준의 안전관리 시스템, 부실한 안전 매뉴얼 등 안일한 안전 경영으로 화재 피해를 키웠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 같은 중국 자본의 경영 스타일 때문에 광주시 등이 화재 피해 극복을 명분으로 함평 빛그린국가산단으로의 공장 이전을 적극 지원하더라도, 부지 용도를 변경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막대한 수익을 최소한만 투자하고 따로 챙기는 이른바 ‘먹튀’ 가능성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하고 있다.
이에 따라 광주시는 정부에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 피해 지역을 최소한의 지원이 가능한 고용위기지역으로 지정해달라고 요청<5월 19일자 광주일보 2면>한 상태다.
노사협상 등에 따라 사용자의 귀책 사유로 휴업하는 경우 사용자는 휴업 기간 근로자에게 평균임금의 100분의 70 이상의 수당을 지급토록 돼 있지만, 이를 받는다고 해도 생계유지가 어렵고, 중국 자본인 사측이 70% 보존 규정을 따를지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다만 고용위기지역으로 지정되려면 신청 직전 1년간 고용보험 피보험자 증감률이 5% 이상 감소하거나 같은 기간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 수가 20% 이상 증가해야 하는 등 조건이 매우 까다롭다는 점이 걸림돌이 되고 있다. 광주시는 2023년에도 법정관리를 신청한 대유위니아 피해 지역을 고용위기지역으로 지정해달라고 요청했지만, 결국 지정되지 않았다.
지역 시민사회단체와 경제계의 우려도 깊어지고 있다. 조선익 참여자치21 공동대표는 “생산이 재개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 같은데, 기업(금호타이어)도 기업이지만 생계를 유지하는 근로자들의 일상생활을 챙길 수 있는 논의가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진석 광주경영자총협회 회장은 “금호타이어는 연간 매출 4조 5000억원에 달하고 지역민 수천명을 고용하고 있는 지역 경제의 핵심 동력”이라며 “정부와 광주시, 광주지방고용노동청 등 관계 당국은 광주공장이 조속히 생산을 재개하고 피해를 복구할 수 있도록 모든 행정·재정적 지원을 총동원해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편, 광주시의원들도 이날 성명서를 내고 정부에 금호타이어 화재 피해 지역을 특별재난지역과 고용위기지역으로 지정해 줄 것을 촉구했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
이에 따라 지역 경제계 등에선 자치단체와 정부 차원의 빠른 지원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지만, 일각에선 중국 자본 경영진의 고용 안정을 담보로 하는 ‘책임 경영’부터 선행돼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 화재로 공장 가동 중단 기간이 1~3년까지 예상되면서, 사회 허리층인 ‘40~50대 가장 노동자’를 대상으로 하는 임금 지급 불능과 대대적인 구조조정 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한국타이어도 2023년 대전공장 화재 발생 이후 일정 기간 생산이 중단됨에 따라 노동자들에게 희망퇴직을 권유하는 등 인력 구조 조정에 나선 바 있다.
특히 중국 자본 기반인 금호타이어의 소유 구조는 고용안정에 대한 불안을 더 키우는 요인이 되고 있다. 금호타이어는 2018년 중국 타이어사 더블스타에 인수됐으며, 상대적으로 국내 기업 경영진에 비해 ‘책임 경영’에 대한 의지나 인식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금호타이어 측은 지난해부터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혐의로 수사까지 받는 상황에서도, 대규모 화재에 대한 초기 대응 미흡, 낮은 수준의 안전관리 시스템, 부실한 안전 매뉴얼 등 안일한 안전 경영으로 화재 피해를 키웠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 같은 중국 자본의 경영 스타일 때문에 광주시 등이 화재 피해 극복을 명분으로 함평 빛그린국가산단으로의 공장 이전을 적극 지원하더라도, 부지 용도를 변경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막대한 수익을 최소한만 투자하고 따로 챙기는 이른바 ‘먹튀’ 가능성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하고 있다.
이에 따라 광주시는 정부에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 피해 지역을 최소한의 지원이 가능한 고용위기지역으로 지정해달라고 요청<5월 19일자 광주일보 2면>한 상태다.
노사협상 등에 따라 사용자의 귀책 사유로 휴업하는 경우 사용자는 휴업 기간 근로자에게 평균임금의 100분의 70 이상의 수당을 지급토록 돼 있지만, 이를 받는다고 해도 생계유지가 어렵고, 중국 자본인 사측이 70% 보존 규정을 따를지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다만 고용위기지역으로 지정되려면 신청 직전 1년간 고용보험 피보험자 증감률이 5% 이상 감소하거나 같은 기간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 수가 20% 이상 증가해야 하는 등 조건이 매우 까다롭다는 점이 걸림돌이 되고 있다. 광주시는 2023년에도 법정관리를 신청한 대유위니아 피해 지역을 고용위기지역으로 지정해달라고 요청했지만, 결국 지정되지 않았다.
지역 시민사회단체와 경제계의 우려도 깊어지고 있다. 조선익 참여자치21 공동대표는 “생산이 재개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 같은데, 기업(금호타이어)도 기업이지만 생계를 유지하는 근로자들의 일상생활을 챙길 수 있는 논의가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진석 광주경영자총협회 회장은 “금호타이어는 연간 매출 4조 5000억원에 달하고 지역민 수천명을 고용하고 있는 지역 경제의 핵심 동력”이라며 “정부와 광주시, 광주지방고용노동청 등 관계 당국은 광주공장이 조속히 생산을 재개하고 피해를 복구할 수 있도록 모든 행정·재정적 지원을 총동원해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편, 광주시의원들도 이날 성명서를 내고 정부에 금호타이어 화재 피해 지역을 특별재난지역과 고용위기지역으로 지정해 줄 것을 촉구했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