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충대충 운영에...60여년 공신력 무너진 기능경기대회
2025년 04월 14일(월) 20:30 가가
국토부 “드론 무자격자 참가 몰라”
전남선 심사위원·학생 유착 논란
9월 광주대회 앞두고 재점검 절실
전남선 심사위원·학생 유착 논란
9월 광주대회 앞두고 재점검 절실
기능경기대회의 공신력과 신뢰성이 흔들리고 있다. 전국 17개 자치단체와 주관기관인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참가자 자격 관리는 커녕, 운영 규정조차 숙지하지 못한 채 부실하게 운영하면서 기능인 양성을 내건 60년 명성에 먹칠을 했다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우수 기술력을 갖춘 기능인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대회라는 점에서 학창시절 내내 실력을 갈고 닦아온 전국 대부분의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신뢰와 기대를 저버렸다는 비판도 거세게 제기되고 있다.
◇부실한 시험 관리=14일 광주시와 한국산업인력공단 등에 따르면 지난 8~10일 광주 지방기능경기대회 종목 중 하나로 열린 ‘산업용 드론 제어’ 시험은 참가 자격 논란에 휘말리면서 응시생들이 경기 중 뒤늦게 탈락하는 일이 빚어졌다.
산업인력공단 등은 애초 경기 참여자를 항공안전법에 따른 ‘2종 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 자격’ 을 갖춘 대상자들로 제한하지 않으면서 무자격 참가자들을 대거 경기에 출전시킨 것으로 드러났다.
‘산업용 드론 제어’ 시험의 경우 2인 1조로 이뤄지는데, 외부 조종자는 자격증을 갖춰야 한다는 게 부산지방항공청과 국토부 설명이다.
한국산업인력공단은 그러나 광주 뿐 아니라 전국 17개 시·도의 지방기능경기대회를 운영하면서 관련 자격증 보유 대상자들로 참가자를 제한하지 않은 채 경기를 치른 것으로 확인됐다. 이 때문에 무자격자가 경기에 출전했다가 뒤늦게 탈락하는가 하면, 전남에서 열린 기능경기대회에서는 무자격 참가자가 장려상을 받기도 했다.
전남도 관계자도 “산업인력공단에서 내려준 지침에 자격증 보유 여부가 전혀 언급되지 않아 관련 내용을 몰랐다”고 말했다.
산업인력공단은 관련 종목을 시범종목으로 지정한 2021년 이후로 단 한 차례도 자격 유무를 공지하지 않았고 17개 시·도도 별다른 이의를 제기하지 않으면서 지방기능경기대회 뿐 아니라 본선 격인 전국기능경기대회도 무자격자 참여를 제한할 수 없었다는 게 공단 측 설명이다. 무자격자 입상 여부도 가려낼 수 없다는 얘기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학생들 시험이어도 관련 자격이 있어야 한다”며 “드론 직종 기능대회에 무자격 참여자들이 참가한 가운데 대회가 치러지는 줄 몰랐다”고 말했다.
심사위원과 학생 간 유착 논란도 제기됐다. 전남 대회에서는 산업용 드론 제어 심사위원으로 위촉된 교수가 특정 단체 대화방에서 특정 학교 학생들과 시험 정보를 주고받은 것으로 드러나 해당 심사위원을 해촉하고 다른 심사위원을 교체하기도 했다.
◇기능인 육성 시험 먹칠=전국기능경기대회에 학생을 참여시킨 광주지역 고교 지도교사 A씨는 “특성화고 학생들에게 기능경기대회는 체육중·고 학생들의 전국체전, 일반계고 학생들의 수능과 비슷하다”면서 “취업과 경력을 위해 일 년에 한 번뿐인 이 대회를 주말과 방학 없이 준비하는 형편인데 공단은 어떤 사과도 없다”고 말했다. 특성화고 학생들에게 그만큼 중요한 대회라는 얘기다.
지방기능경기대회에서 1, 2, 3위 입상자는 해당 직종 국가기술자격 기능사 시험이 면제되고 전국기능경기대회에 출전할 기회를 갖는다. 또 전국대회 입상자는 해당 직종 국가기술자격시험이 면제되고 국제기능올림픽대회 참가직종은 상위 득점자 2명(팀)에게 국가대표선수 선발을 위한 국가대표평가전 참여 자격을 부여한다.
이 때문에 부실한 대회 운영으로 어린 예비 기능인들의 기대와 신뢰감을 저버린 데 데 따른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오는 9월 광주에서 치러지는 ‘2025 광주시 제60회 전국기능경기대회’를 앞두고 대회 전반에 대한 총체적 재점검도 요구되고 있다.
/양재희 기자 heestory@kwangju.co.kr
◇부실한 시험 관리=14일 광주시와 한국산업인력공단 등에 따르면 지난 8~10일 광주 지방기능경기대회 종목 중 하나로 열린 ‘산업용 드론 제어’ 시험은 참가 자격 논란에 휘말리면서 응시생들이 경기 중 뒤늦게 탈락하는 일이 빚어졌다.
‘산업용 드론 제어’ 시험의 경우 2인 1조로 이뤄지는데, 외부 조종자는 자격증을 갖춰야 한다는 게 부산지방항공청과 국토부 설명이다.
전남도 관계자도 “산업인력공단에서 내려준 지침에 자격증 보유 여부가 전혀 언급되지 않아 관련 내용을 몰랐다”고 말했다.
산업인력공단은 관련 종목을 시범종목으로 지정한 2021년 이후로 단 한 차례도 자격 유무를 공지하지 않았고 17개 시·도도 별다른 이의를 제기하지 않으면서 지방기능경기대회 뿐 아니라 본선 격인 전국기능경기대회도 무자격자 참여를 제한할 수 없었다는 게 공단 측 설명이다. 무자격자 입상 여부도 가려낼 수 없다는 얘기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학생들 시험이어도 관련 자격이 있어야 한다”며 “드론 직종 기능대회에 무자격 참여자들이 참가한 가운데 대회가 치러지는 줄 몰랐다”고 말했다.
심사위원과 학생 간 유착 논란도 제기됐다. 전남 대회에서는 산업용 드론 제어 심사위원으로 위촉된 교수가 특정 단체 대화방에서 특정 학교 학생들과 시험 정보를 주고받은 것으로 드러나 해당 심사위원을 해촉하고 다른 심사위원을 교체하기도 했다.
◇기능인 육성 시험 먹칠=전국기능경기대회에 학생을 참여시킨 광주지역 고교 지도교사 A씨는 “특성화고 학생들에게 기능경기대회는 체육중·고 학생들의 전국체전, 일반계고 학생들의 수능과 비슷하다”면서 “취업과 경력을 위해 일 년에 한 번뿐인 이 대회를 주말과 방학 없이 준비하는 형편인데 공단은 어떤 사과도 없다”고 말했다. 특성화고 학생들에게 그만큼 중요한 대회라는 얘기다.
지방기능경기대회에서 1, 2, 3위 입상자는 해당 직종 국가기술자격 기능사 시험이 면제되고 전국기능경기대회에 출전할 기회를 갖는다. 또 전국대회 입상자는 해당 직종 국가기술자격시험이 면제되고 국제기능올림픽대회 참가직종은 상위 득점자 2명(팀)에게 국가대표선수 선발을 위한 국가대표평가전 참여 자격을 부여한다.
이 때문에 부실한 대회 운영으로 어린 예비 기능인들의 기대와 신뢰감을 저버린 데 데 따른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오는 9월 광주에서 치러지는 ‘2025 광주시 제60회 전국기능경기대회’를 앞두고 대회 전반에 대한 총체적 재점검도 요구되고 있다.
/양재희 기자 heestory@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