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다라 불탑을 통해 불교문화를 조명하다
2025년 03월 26일(수) 18:40 가가
천득염 교수 등 ‘간다라지역의 불교문화와 불탑’ 펴내
불탑은 부처의 사리를 모신 묘다. 그런 이유로 부처의 몸인 성스러운 대상으로 인식된다.
백제에 불교를 전한 이는 마라난타는 간다라 출신이라고 전해온다. 영광 불갑사를 비롯한 불교유적의 뿌리를 간다라에서 찾을 수 있는 단초가 여기에 있다.
간다라지역의 불교문화를 다각도로 조명한 책이 발간돼 눈길을 끈다.
천득염 전남대 건축학부 명예교수와 자라와르 칸 파키스탄스와트 대학 교수, 김인수 대학원생이 최근 ‘간다라지역의 불교문화와 불탑’(전남대출판문화원)을 펴냈다. 이번 책은 천 교수가 인도, 스리랑카, 미얀마 등에 이어 간다라불탑을 연구한 전문도서다. 천 교수에게 불탑은 평생 연구 주제였다.
간다라는 불교가 중국, 한국 등 동아시아로 전래되는 중간적 장소다. 또한 알렉산더대왕이 동방원정을 했던 가장 동쪽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미술로 유명한 간다라에는 인도 초기불탑인 산치불탑과 유사한 시원불타의 변모양상을 보여주는 대형 불탑이 많다.
천 교수에 따르면 불교가 인도에서 비롯된 것처럼 불탑과 경전 역시 인도에서 기원전 5세기경 발생해 주변 불교국가로 전래됐다. 이 과정에서 인도에서 제일 가까운 지역이자 과거에는 인도 영토였던 파키스탄 간다라지역은 다른 지역과 변별되는 불탑 등이 산재한다.
과거 100여 년 전 서구의 열강들은 아시아권 국가들을 강점하며 실크로드 주변의 문화유적을 조사한 적이 있다. 이들은 불상과 불화를 자기 나라로 가져가 유럽의 미술관에 전시했다.
천 교수는 이번에 간다라불탑 연구를 불교유적을 중심으로 전개했다. 3회에 걸쳐 답사한 내용을 중심으로 간다라지역에 현존하는 도시유적, 불교사원. 불탑유적을 고찰했다.
천 교수는 “책의 전반부는 간다라 역사와 불교문화에 대하여 기본적인 내용을 정리했으며 중반부는 간다라지역에 현존하는 도시유적과 불교사원 그리고 불탑유적에 대하여 소개했다. 후반부는 간다라지역 불탑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지역적, 조형적 특성과 전래양상을 담았다”고 전했다.
/박성천 기자 skypark@kwangju.co.kr
백제에 불교를 전한 이는 마라난타는 간다라 출신이라고 전해온다. 영광 불갑사를 비롯한 불교유적의 뿌리를 간다라에서 찾을 수 있는 단초가 여기에 있다.
천득염 전남대 건축학부 명예교수와 자라와르 칸 파키스탄스와트 대학 교수, 김인수 대학원생이 최근 ‘간다라지역의 불교문화와 불탑’(전남대출판문화원)을 펴냈다. 이번 책은 천 교수가 인도, 스리랑카, 미얀마 등에 이어 간다라불탑을 연구한 전문도서다. 천 교수에게 불탑은 평생 연구 주제였다.
간다라는 불교가 중국, 한국 등 동아시아로 전래되는 중간적 장소다. 또한 알렉산더대왕이 동방원정을 했던 가장 동쪽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미술로 유명한 간다라에는 인도 초기불탑인 산치불탑과 유사한 시원불타의 변모양상을 보여주는 대형 불탑이 많다.
![]() ![]() |
천 교수는 이번에 간다라불탑 연구를 불교유적을 중심으로 전개했다. 3회에 걸쳐 답사한 내용을 중심으로 간다라지역에 현존하는 도시유적, 불교사원. 불탑유적을 고찰했다.
천 교수는 “책의 전반부는 간다라 역사와 불교문화에 대하여 기본적인 내용을 정리했으며 중반부는 간다라지역에 현존하는 도시유적과 불교사원 그리고 불탑유적에 대하여 소개했다. 후반부는 간다라지역 불탑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지역적, 조형적 특성과 전래양상을 담았다”고 전했다.
/박성천 기자 skypark@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