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노동자 이름 부르기’ 노동부 정식 사업 되나
2025년 02월 17일(월) 19:47 가가
전남노동권익센터 신청서 제출
전남지역 ‘이주노동자 안전모 지급 및 이름 불러주기’사업이 고용노동부 정식 사업으로 채택될 지 주목되고 있다.
전남노동권익센터는 최근 추진중인 3개 사업에 대해 전남노사민정협의회 사업 신청서를 제출했다고 17일 밝혔다. 센터가 전남노사민정협의회에 사업 신청을 하면 전남은 고용노동부에 신청서를 제출해 정식 사업 채택 시 국가 예산을 받아 추진할 수 있게 된다.
센터는 올해 5월을 시작으로 11월까지 ‘이주노동자 작업복 나눔’, ‘이주노동자에 식사를 배려합시다’, ‘이주노동자 안전모 지급 및 이름 불러주기’ 사업을 시행한다. 이주노동자 작업복 나눔과 식사 배려 캠페인은 지난해 처음 시행됐으나 안전모 지급 사업은 올해 처음 실시된다.
현장 이주 노동자들의 애로사항이 반영된 ‘이주노동자 안전모 지급 및 이름 불러주기’ 사업은 센터가 올해 처음으로 시작하는 사업이다.
건설업 등 현장에서 이름대신 “야” 또는 비속어로 불리우던 이주노동자들을 위해 노동자 각자의 이름이 적힌 안전모를 개별로 지급하는 것이 골자다. 안전과 인권을 모두 챙길 수 있다는 점에서 예산 대비 큰 효율이 기대된다는 것이 센터의 설명이다.
문길주 전남권익센터장은 “노동의 문제는 국가가 나서야 해결할 수 있다. 지역 공동체도 함께 나서 이주노동자들의 애로사항이 조금이나마 해결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다인 기자 kdi@kwangju.co.kr
전남노동권익센터는 최근 추진중인 3개 사업에 대해 전남노사민정협의회 사업 신청서를 제출했다고 17일 밝혔다. 센터가 전남노사민정협의회에 사업 신청을 하면 전남은 고용노동부에 신청서를 제출해 정식 사업 채택 시 국가 예산을 받아 추진할 수 있게 된다.
현장 이주 노동자들의 애로사항이 반영된 ‘이주노동자 안전모 지급 및 이름 불러주기’ 사업은 센터가 올해 처음으로 시작하는 사업이다.
/김다인 기자 kdi@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