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위기 청소년 ‘복지 사각지대’ 없앤다
2025년 01월 14일(화) 19:45
예산 128억원 투입…가정밖·학교밖 청소년 등 맞춤형 복지서비스
광역시 최초 은둔·고립 청소년 발굴·자립까지 원스톱 지원 등 다양
광주시가 위기 청소년이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맞춤형 지원사업을 추진한다.

광주시는 14일 “가정밖·학교밖 청소년 등 위기청소년 보호와 복지서비스 지원을 위해 올해 사업비 128억원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시는 우선 지역 내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6개소에 30억원을 지원한다. 지원센터는 학교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상담, 교육, 취업, 자립 등 다양한 맞춤형 서비스를 지원한다.

구체적으로 학교밖 청소년의 학업 지원을 위해 교육활동비 지원과 함께 대안교육 등록기관 지원, 검정고시 지원, 학습클리닉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특히 취업 희망 청소년을 위한 직업역량 강화 프로그램, 작업장·인턴십 프로그램, 자립·취업 지원 서비스 등을 운영해 직업훈련과 직장 체험의 기회도 제공한다.

광주시는 지난해에도 학교밖 청소년 맞춤형 서비스 지원을 통해 684명의 학습을 지원했고, 242명의 취업·직업훈련 자격취득을 도왔다. 또 위기 청소년 135명에게는 언어 자격취득 등 자기계발을 지원했다.

올해는 광역시 최초로 학업 중단 후 심리적 문제를 겪고 있는 은둔·고립 청소년에 대한 지원도 신설한다. 은둔·고립 청소년 조기 발굴부터 방문상담 등 맞춤형 서비스를 통해 자립까지 돕는 원스톱 패키지 지원사업을 펼친다.

광주시는 심리적 위기 상황에 처한 청소년에 대한 지원도 이어간다. 시는 심리적 위기 청소년에게 상담, 보호, 의료, 자립 등 맞춤형 통합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하기 위해 청소년상담복지센터 6개소에 28억원을 지원한다. 찾아가는 상담전문가인 ‘청소년 동반자’를 운영하고, 전화로 쉽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청소년 상담전화(1388)’를 24시간 운영한다. 긴급 구조·일시보호소, 인터넷 중독 예방, 자살·자해 고위험 청소년 집중 클리닉 사업 등도 진행한다.

가정밖 청소년을 보호하기 위한 정책도 확대한다. 가정 밖 청소년을 위한 청소년복지시설 6개소(청소년 쉼터 5개소·청소년 회복지원시설 1개소)에 24억원을 지원하고, 가정불화와 학대, 폭력 등으로 가출한 가정밖 청소년을 위한 청소년 쉼터를 운영한다. 또 청소년 비행 예방을 위한 청소년 회복지원시설도 위탁 운영한다.

이들 시설에서는 가정밖 청소년에게 의식주 제공, 학업 지원, 심리 상담, 문화·여가 지원 등 다양한 보호서비스를 지원한다. 실제로 최근 5년간(2020년~2024년) 784명의 청소년이 쉼터와 회복지원시설에 입소해 다양한 지원을 받았다.

광주시는 특히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쉼터를 퇴소한 청소년이 안정적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공공임대주택을 지원하고, 자립지원수당을 퇴소 후 5년간 월 50만원씩 지원할 예정이다.

시는 이 밖에도 청소년의 건강권 보장과 보호를 위해 여성청소년 생리용품을 2만9188명(44억원 상당)에게 무상 지원한다.

이영동 광주시 여성가족국장은 “위기 청소년들이 사회적 기회에서 소외되지 않고 건강한 사회구성원이 될 수 있도록 제도적·체계적 보호 등 자립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