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록 전남지사 “지역발전 위해 광주·전남 대통합 필요”
2024년 12월 03일(화) 19:30 가가
김영록 전남지사가 지역발전을 견인하기 위해서는 실질적 권한을 갖는 광주·전남 대통합 추진의 필요성을 언급, 주목된다.
김 지사는 3일 열린 정례조회 자리에서 “빛나는 지방시대를 위해 전남특별자치도를 추진하고 있는데, 궁극적으로는 헌법 개정을 통해 지방의 의사가 중앙에 반영되도록 하는 연방제 수준의 지방자치가 돼야 한다”며 “대구·경북이 추진하는 것처럼 우리도 여건이 되면 실질적 권한을 갖는 광주·전남 대통합 시도를 추진, 지역 발전을 견인하게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지난 10월 ‘대구경북특별시’ 출범을 위한 합의문 작성 이후 시·군·자치구를 대상으로 한 주민설명회에 이어 여론조사, 시·도의회 동의 절차를 준비중이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통합을 통해 인구 약 500만명으로 서울시의 33배, 경기도의 2배에 달하는 한반도 최대 면적의 지방자치단체로 부상한다는 구상이다. 이런 조건을 바탕으로 TK시는 남부거대경제권을 형성해 수도권 일극 체제를 종식하는 주도적인 역할을 맡게 된다는 비전을 세워놓았다.
김 지사의 이날 발언은 대구·경북 사례를 고려해 지역 자치권을 확보할 수 있는 광주·전남 통합의 필요성을 언급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전남도의 경우 지난 2021년 당시 광주전남연구원을 통해 초광역 협력사업 발굴 및 메가시티 대응 연구에 나서는 것을 시작으로, 광주·전남 행정통합 등 논의에 관한 연구를 별도로 진행한 바 있다.
전남도는 또 행안부 주도로 지난 2023년 3차례에 걸쳐 ▲특별지자체 컨설팅 방향 설정 ▲발굴 사무에 대한 우선 순위 검토 및 주력사무 제안 ▲우선순위 사업 구체화 방안 제시, 이관희망 국가사무 검토 등에 대해 이뤄진 컨설팅 결과를 토대로 부서 의견 수렴 및 전문가 자문을 거쳐 특별지자체 설치를 위한 공동사무 발굴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는 방침을 세워놓은 상태다.
/김지을 기자 dok2000@kwangju.co.kr
김 지사는 3일 열린 정례조회 자리에서 “빛나는 지방시대를 위해 전남특별자치도를 추진하고 있는데, 궁극적으로는 헌법 개정을 통해 지방의 의사가 중앙에 반영되도록 하는 연방제 수준의 지방자치가 돼야 한다”며 “대구·경북이 추진하는 것처럼 우리도 여건이 되면 실질적 권한을 갖는 광주·전남 대통합 시도를 추진, 지역 발전을 견인하게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통합을 통해 인구 약 500만명으로 서울시의 33배, 경기도의 2배에 달하는 한반도 최대 면적의 지방자치단체로 부상한다는 구상이다. 이런 조건을 바탕으로 TK시는 남부거대경제권을 형성해 수도권 일극 체제를 종식하는 주도적인 역할을 맡게 된다는 비전을 세워놓았다.
전남도는 또 행안부 주도로 지난 2023년 3차례에 걸쳐 ▲특별지자체 컨설팅 방향 설정 ▲발굴 사무에 대한 우선 순위 검토 및 주력사무 제안 ▲우선순위 사업 구체화 방안 제시, 이관희망 국가사무 검토 등에 대해 이뤄진 컨설팅 결과를 토대로 부서 의견 수렴 및 전문가 자문을 거쳐 특별지자체 설치를 위한 공동사무 발굴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는 방침을 세워놓은 상태다.
/김지을 기자 dok2000@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