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민간·군공항 이전 새 국면 … 정부협의체·민주 특위 가동
2024년 11월 26일(화) 20:15 가가
민주당, 연내 상생 TF 운영…광주시 독자활동 중지·전남도 적극 협력
정부도 다음달 광주·전남·무안·국방부·국토부·행안부 참여 실무회의
정부도 다음달 광주·전남·무안·국방부·국토부·행안부 참여 실무회의
전남도·무안군과의 생각차이로 갈등의 골만 깊어졌던 광주시의 ‘민간·군공항 이전 사업’이 새 국면을 맞게 됐다.
그동안 ‘강 건너 불구경’ 하듯 무관심한 모습을 보여온 중앙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이 강기정 광주시장의 3개월에 걸친 줄기찬 논의구조 확대 요청을 수용하고, 민간·군 공항 이전 사업 해결에 적극 나서겠다는 입장을 내놨기 때문이다.
광주시는 지금까지 국가사업임에도 지역 현안으로 치부하고, 힘도 권한도 없는 자치단체에만 책임을 떠넘겨온 ‘민간·군 공항 이전 사업’이 (정부와 정치권의 공식 참여 등으로) 전국 현안사업으로 전환됨에 따라 빠른 시일 내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만, 현 정부와 민주당 간의 극한의 갈등 상황, 그리고 앞서 진행됐지만 지지부진해오다 가동이 중단된 중앙정부와의 범정부협의체가 과연 이번에는 속도를 낼지는 미지수다.
이와 관련해 강기정 시장은 26일 시청에서 기자단과 차담회를 갖고 “민간·군공항 통합 이전 문제 해결을 위해 광주시·전남도·무안군을 넘어 또 다른 당사자인 중앙정부와 정치권이 참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강 시장은 “지난 21일 한덕수 국무총리를 직접 만나 국무조정실 주관 범정부협의체 운영 재개를 건의했다”며 “이에 국무조정실에서 12월 중 국무1차장 주재로 광주·전남·무안군·국방부·국토부·행안부 등이 참여하는 실무회의 개최를 결정했다”고 강조했다.
강 시장은 지난 9월부터 공항 관련 3개 단체장의 소속 정당인 민주당에 ‘특위’ 구성을, 중앙정부에는 ‘범정부협의체’ 재가동을 수차례 요구해 왔다. 강 시장은 또 “정부와 민주당이 광주시의 요청에 화답함에 따라 ‘12월 데드라인’ 방침을 철회하고, 그동안 무안군을 상대로 펼쳐왔던 시 주도 민간·군 공항 이전 활동도 잠정 연기 또는 중지 하겠다”는 입장도 내놨다.
광주시는 실제 이날부터 무안군민에게 직접 홍보하는 열린 대화방·무안 미래 비전래비전 토론회·여론조사 중지, 연말로 못 박은 공항 이전 논의 시한(데드라인) 철회 등 독자적으로 추진해온 공항 이전 활동을 모두 중단했다.
앞서 김민석 민주당 최고위원도 이날 오전 광주시청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공항 이전 문제 등을 당 차원에서 논의할) 가칭 광주·전남 상생발전 TF를 구성하자고 민의를 모아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최고위원은 “강기정 시장이 수차례 제안한 민주당 차원의 ‘군공항 특위’ 구성을 고민하던 중 논의 폭을 더 풍성하고 유연하게 할 수 있도록 군공항에 국한하지 말고 광주·전남의 더 큰 비전을 모색하자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며 “이재명 대표, 사무총장, 민주당 광주시당·전남도당위원장과 의견을 교환했으며, 연내에 상생발전 TF 구성 윤곽도 잡힐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 최고위원은 “민주당 광주시당과 도당위원장을 중심으로 지역 국회의원, 광역단체장, 약간의 기초단체장 등을 포함하고 중앙당에서 지원하며 정책 연구 인력도 참여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그동안 광주시의 불편한 모습을 보여왔던 전남도도 이날 강기정 시장의 광주 민간·군 공항 통합 이전 관련 발표 등과 관련해 환영의 목소리를 냈다.
전남도는 “광주시 발표를 환영하며 군 공항 이전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정부의 범정부협의체와 광주·전남 상생발전 TF에도 참여해 나가겠다”면서 “공항 이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무안군민의 수용성을 확보하는 것이며, 광주시가 무안군민을 설득할 수 있는 종합적인 대안과 ‘무안군 미래 발전 비전’을 제시하며 진정성 있게 접근한다면 전남도는 적극 협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
그동안 ‘강 건너 불구경’ 하듯 무관심한 모습을 보여온 중앙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이 강기정 광주시장의 3개월에 걸친 줄기찬 논의구조 확대 요청을 수용하고, 민간·군 공항 이전 사업 해결에 적극 나서겠다는 입장을 내놨기 때문이다.
다만, 현 정부와 민주당 간의 극한의 갈등 상황, 그리고 앞서 진행됐지만 지지부진해오다 가동이 중단된 중앙정부와의 범정부협의체가 과연 이번에는 속도를 낼지는 미지수다.
광주시는 실제 이날부터 무안군민에게 직접 홍보하는 열린 대화방·무안 미래 비전래비전 토론회·여론조사 중지, 연말로 못 박은 공항 이전 논의 시한(데드라인) 철회 등 독자적으로 추진해온 공항 이전 활동을 모두 중단했다.
앞서 김민석 민주당 최고위원도 이날 오전 광주시청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공항 이전 문제 등을 당 차원에서 논의할) 가칭 광주·전남 상생발전 TF를 구성하자고 민의를 모아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최고위원은 “강기정 시장이 수차례 제안한 민주당 차원의 ‘군공항 특위’ 구성을 고민하던 중 논의 폭을 더 풍성하고 유연하게 할 수 있도록 군공항에 국한하지 말고 광주·전남의 더 큰 비전을 모색하자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며 “이재명 대표, 사무총장, 민주당 광주시당·전남도당위원장과 의견을 교환했으며, 연내에 상생발전 TF 구성 윤곽도 잡힐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 최고위원은 “민주당 광주시당과 도당위원장을 중심으로 지역 국회의원, 광역단체장, 약간의 기초단체장 등을 포함하고 중앙당에서 지원하며 정책 연구 인력도 참여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그동안 광주시의 불편한 모습을 보여왔던 전남도도 이날 강기정 시장의 광주 민간·군 공항 통합 이전 관련 발표 등과 관련해 환영의 목소리를 냈다.
전남도는 “광주시 발표를 환영하며 군 공항 이전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정부의 범정부협의체와 광주·전남 상생발전 TF에도 참여해 나가겠다”면서 “공항 이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무안군민의 수용성을 확보하는 것이며, 광주시가 무안군민을 설득할 수 있는 종합적인 대안과 ‘무안군 미래 발전 비전’을 제시하며 진정성 있게 접근한다면 전남도는 적극 협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