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FC “ACLE 참가 예산 10억 삭감 유감”
2024년 11월 21일(목) 19:50 가가
시의회 “절차 무시에 경고 필요”
광주시의회가 프로축구 K리그 광주FC의 아시아챔피언스리그 엘리트(ACLE) 참가 예산 10억원을 전액 삭감하자 구단 측이 곧바로 유감을 표명하고 나섰다.
노동일 광주FC 대표이사는 21일 입장문을 내고 “광주시가 의회에 편성을 요구했던 ‘광주FC ACLE 지원금 10억 6700만원’이 전액 삭감됐다. 매우 유감”이라고 밝혔다.
노 대표는 “광주시의 어려운 재정 여건을 알면서도 광주시에 예산을 요청했던 것은 광주FC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광주시민의 자긍심을 북돋는 일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라며 “이에 공감하지 못하는 건지 도움을 주지 않는 시의회의 결정이 안타까울 뿐”이라고 말했다.
광주시가 광주FC에 지원하는 예산은 연 100억원 규모이며, 구단 측은 ACLE 진출로 인한 해외 체류비 등이 부족하다고 판단해 지난해 24억원, 올해 30억원을 은행에서 대출 받은 상황이다. 광주FC는 특히 한국프로축구연맹이 도입한 ‘K리그 재정 건전화 정책’에 따라 2030년까지 빚을 갚지 못하면 1군 무대에서 탈락할 가능성도 높다.
광주FC는 올해 초 과대 계상한 예산안을 제출했다가, 프로축구연맹으로부터 여름 이적 시장에서 선수를 영입할 수 없는 제재를 받기도 했다.
프로축구연맹은 광주FC 재정 상황을 주목하며 25개 구단 가운데 유일하게 광주FC만 이달 말까지 올해 가결산과 내년 예산을 제출하라고 요청한 상태다.
프로축구연맹은 다음 달로 예정된 재무위원회에서 광주FC가 기준에 맞는 예산안을 내놓지 못할 경우 인건비 상한선을 지정하는 등 조처에 나설 계획이다. 특히 광주FC 예산안이 기준에 충족하지 못할 경우엔 겨울 이적 시장에서도 선수 영입이 불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광주FC 측은 “지난해 광주시의회 예산 심의가 끝난 직후 ACLE 진출이 확정됐고 비용 40억원 중 10억원의 지원을 시에 요청했다”고 밝혔지만, 시의회는 협의 없이 비용을 사전 사용하고 보존해달라는 것은 절차상 문제가 있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해당 예산은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부활할 가능성도 있으나, 시의회 내부에서는 절차를 어긴 광주FC에 엄중한 경고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명진 시의회 교육문화위원장은 “지난해 12월 ACLE 진출이 확정돼 시기상 올 상반기 추경 때 예산을 요청할 수 있었다”며 “비용을 사전에 모두 소진하고 보존해달라고 하는 것은 의회를 무시한 처사이며, 의원들 사이에서 공식 절차를 밟지 않은 데 대한 엄중한 경고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모아졌다”고 설명했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
노동일 광주FC 대표이사는 21일 입장문을 내고 “광주시가 의회에 편성을 요구했던 ‘광주FC ACLE 지원금 10억 6700만원’이 전액 삭감됐다. 매우 유감”이라고 밝혔다.
광주시가 광주FC에 지원하는 예산은 연 100억원 규모이며, 구단 측은 ACLE 진출로 인한 해외 체류비 등이 부족하다고 판단해 지난해 24억원, 올해 30억원을 은행에서 대출 받은 상황이다. 광주FC는 특히 한국프로축구연맹이 도입한 ‘K리그 재정 건전화 정책’에 따라 2030년까지 빚을 갚지 못하면 1군 무대에서 탈락할 가능성도 높다.
프로축구연맹은 다음 달로 예정된 재무위원회에서 광주FC가 기준에 맞는 예산안을 내놓지 못할 경우 인건비 상한선을 지정하는 등 조처에 나설 계획이다. 특히 광주FC 예산안이 기준에 충족하지 못할 경우엔 겨울 이적 시장에서도 선수 영입이 불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광주FC 측은 “지난해 광주시의회 예산 심의가 끝난 직후 ACLE 진출이 확정됐고 비용 40억원 중 10억원의 지원을 시에 요청했다”고 밝혔지만, 시의회는 협의 없이 비용을 사전 사용하고 보존해달라는 것은 절차상 문제가 있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해당 예산은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부활할 가능성도 있으나, 시의회 내부에서는 절차를 어긴 광주FC에 엄중한 경고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명진 시의회 교육문화위원장은 “지난해 12월 ACLE 진출이 확정돼 시기상 올 상반기 추경 때 예산을 요청할 수 있었다”며 “비용을 사전에 모두 소진하고 보존해달라고 하는 것은 의회를 무시한 처사이며, 의원들 사이에서 공식 절차를 밟지 않은 데 대한 엄중한 경고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모아졌다”고 설명했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