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김 수출 3억 달러 돌파
2024년 11월 18일(월) 14:25
‘5개년 프로젝트’·품질관리와 수출확대 등 ‘종합육성계획’ 성과
7억달러 향해 신규어장 확대·고부가가치화 등 세계 주도 목표

장흥 무산김 수확하는 어민들<광주일보 자료사진>

전남의 김 수출액이 지난 10월말 3억600만 달러에 이른 것으로 집계됐다.

우리나라 전체 김 수출액(8억5000만 달러)의 36%에 해당한다. 지난 2010년 1000만 달러(전국 대비 7.8%)에 그쳤지만, 14년만에 그 30배에 달하는 김을 다른 나라에 수출하고 있는 것이다.

18일 전남도에 따르면 지난 2021년부터 올해까지 5개년 계획을 통해 ‘김 수출 3억 달러 프로젝트(18개 과제)’와 혁신적 품질관리와 수출시장 확대를 위해 ‘김산업 종합 육성계획’을 세워 시행하고 있다. 유기 수산물 인증 확대와 김 양식어장 인증부표 보급, 위생관리 장비 보급 및 HACCP 시설 지원, 노후 가공업체 시설 현대화, 마른김 검사소 구축 등 위생과 품질 향상을 체계적으로 지원한 것이 한몫했다.

김산업 진흥구역 4개소를 지정·지원하고, 해양수산 창업투자 지원센터를 통한 기업 지원과 수출 제품 전략적 통합 마케팅 등으로 신규 시장 개척, 수출시장 다변화에 노력한 것도 이유로 꼽힌다.

전남도는 앞으로 신규 어장 면적 확대, 외해어장 개발과 기후변화를 대비 신품종 종자 개발, 친환경 김 생산 면적 확대를 통해 안정적으로 김 생산을 늘릴 계획이다.

이와함께 수산식품 수출단지를 조기에 조성하고 국내외 바이어가 마른김을 전남을 찾아와 구매하도록 국제 마른김 거래소를 운영하는 한편, 대규모 마른김 전용 물류시설을 확충하는 등 김 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강화할 방침이다. 김산업을 국가 전략사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국립 김산업 진흥원을 구축해 세계 시장을 주도하겠다는 전략도 추진 중이다. 강석운 전남도 수산유통가공과장은 “김 산업은 종자·생산·가공·수출 등 단계별 부가가치가 높아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 효과가 매우 크다”며 “앞으로 김 수출 7억 달러 목표를 조기에 달성하도록 고부가가치화에 더욱 힘쓰겠다”고 말했다.

/윤현석 기자 chadol@kwangju.co.kr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