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순천대 통합의대 결단으로 30년 동서갈등 풀자
2024년 11월 12일(화) 20:00
김영록 지사 “여야의정 협의체 출범…15일까지 통합 합의해달라”
“정부 수용성 높은 통합의대가 최선”…양 대학 총장에 결단 촉구

<광주일보 자료사진>

전남 국립의대 설립 및 대학병원 신설 지역을 정부에 추천하기 위한 공모 마감을 앞두고 목포대와 순천대가 대학 통합을 통해 30년 넘는 숙원사업인 국립 의대 유치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관련기사 3면>

특히 그동안 엇박자를 보여온 정부와 대통령실, 국민의힘이 최근 여·야·의·정 협의체를 구성한 데 이어 11일 우선 출범해 의료 현안에 대한 논의가 진행중인 만큼 지역 단일안을 마련해 ‘의료개혁 논의 테이블’에 올리는 데 힘을 모아야 할 때라는 지적이다. 지역 정치권에서도 수십년 간 계속되고 있는 ‘동·서부권 홀대론’, ‘소지역주의’로 인한 지역 간 경쟁·갈등 구도를 끝내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12일 전남도에 따르면 김영록 전남지사는 이날 열린 실·국 정책회의에서 여·야·의·정 협의체의 첫 회의를 언급하며 “양 대학 통합은 ‘전남 국립 의대 설립’을 확실히 담보하면서 대학 미래 발전, 전남 도민 전체의 건강권 확보를 위한 최선책”이라며 “양 대학 총장님께서는 도민만을 생각하고 15일까지 마지막 통 큰 결단을 해달라”고 호소했다.

김 지사가 15일까지 합의해 결론을 내려달라고 요청한 데는 조속한 단일안으로 의대 신설 문제에 대응하지 않을 경우 여·야·의·정 협의체 논의 안건에서 제외될 수 있다는 지역 사회의 우려를 반영했다는 게 전남도 안팎의 해석이다.

“2026학년도 정원 관련 실질적 협의가 빨라질 수 있다”며 “우리 입장에서는 시간이 많지 않다”고 언급한 것도 자칫 지역 의료 서비스 개선 여지가 불투명해질 수 있다는 지역사회의 인식을 반영했다는 게 정치권 분석이다.

협의체가 논의할 민감한 국내 의료 현안이 산적한 상황에서 지역에서 분출되는 여러 의견을 일일이 수용, 논의하기란 쉽지 않은 현실적 여건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김 지사는 또 “통합이 이뤄지지 않아 공모 추천으로 가는 방안은 통합 의대에 비해 설득력이 부족할 수 있는 차선책”이라며 “이제 정상에 거의 이르렀는데 다시 산을 내려갈 수 없다”고 언급하며 양 대학이 합의에 이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달라고 주문했다.

국립 의대 유치를 위해 지역에서 분출되는 의견을 단일안으로 마련해야 하는 당위성은 충분하다. 학령인구 감소 등을 고려한 정부의 1도(道) 1 국립대 정책에 부합해 정부가 수용할 가능성이 높고 수십년 간 이어져온 ‘소지역주의’ 를 끊어내고 상생 발전을 이룰 통합 정신에도 부합한다는 것이다. 김 지사는 이어 “통합 의대로 국립 의대를 유치한 뒤 두 대학이 캠퍼스별로 나눠 부속병원을 관리할 수 있는 체제도 가능한 만큼 대승적 차원에서 양보하고 협력해 협의를 이끌어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 때문에 목포·순천대 총장은 더이상 지역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 ‘자기 지역 유치’에만 매달려서는 안된다는 목소리도 힘을 얻고 있다. 전남도청 이전과 맞물려 ‘동부권 홀대론’을 잠재우기 위한 동부지역본부 확충, 순천·목포로 나눠 펼쳐졌던 ‘약대 유치’ 경쟁, 여수박람회를 계기로 이뤄진 SOC 확충, 무안국제공항 활성화와 ‘서남권 SOC 신(新) 프로젝트’ 등 주요 정책마다 끊이질 않았던 동·서부권으로 나뉜 지역 간 갈등을 뿌리 뽑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전경선(민주·목포 5) 전남도의원도 “열악한 지역 의료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 30년 넘게 요구해온 국립 의대 유치는 전남 도민 전체의 숙원 사업”이라며 “단일화된 안으로 정부를 향해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양 대학 총장은 통 큰 결정을 내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지을 기자 dok2000@kwangju.co.kr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