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김장용 가을배추 선제적 수급 안정 대책 추진
2024년 09월 22일(일) 19:20 가가
김장·김치 소비량 감소에 작목 변경·휴경 농가 지원
전남도가 김장용 가을배추 수급 안정 대책 마련에 나섰다.
22일 전남도에 따르면 최근 10년 평균 전국 가을배추 재배면적은 1만 4000여㏊를 유지하는 반면, 1~2인 가구 증가로 인한 김장 문화 변화와 김치 소비량 감소 등으로 배추 가격 하락이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2000년만 해도 74.2㎏ 이던 1인당 김치 소비량은 지난 2022년 36.5㎏ 수준으로 절반 가량 감소한 상황이다.
전남도는 이같은 점을 들어 배추 작목전환 지원사업을 통해 배추 적정 면적 재배를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최근 2년(2022~2023년) 간 배추를 키웠던 밭을 다른 작목으로 바꿔 재배하거나 휴경하는 농가를 대상으로 소득 감소분의 일부를 지원하는 정책이다. 전남도는 유채·귀리 등 대체작물 재배로 인한 소득감소분의 일부인 ㏊당 450만원을 지원한다. 보리·밀을 심은 농가의 경우 지역농협 등과 계약 재배를 통해 판로를 확보하면 지원받을 수 있다.
수급 불안 품목인 마늘, 양파 등은 지원 대상이 아니다.
전남도는 지난 8월까지 접수 받은 농가를 대상으로 이행 여부를 점검한 뒤 보조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김지을 기자 dok2000@kwangju.co.kr
22일 전남도에 따르면 최근 10년 평균 전국 가을배추 재배면적은 1만 4000여㏊를 유지하는 반면, 1~2인 가구 증가로 인한 김장 문화 변화와 김치 소비량 감소 등으로 배추 가격 하락이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남도는 이같은 점을 들어 배추 작목전환 지원사업을 통해 배추 적정 면적 재배를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최근 2년(2022~2023년) 간 배추를 키웠던 밭을 다른 작목으로 바꿔 재배하거나 휴경하는 농가를 대상으로 소득 감소분의 일부를 지원하는 정책이다. 전남도는 유채·귀리 등 대체작물 재배로 인한 소득감소분의 일부인 ㏊당 450만원을 지원한다. 보리·밀을 심은 농가의 경우 지역농협 등과 계약 재배를 통해 판로를 확보하면 지원받을 수 있다.
전남도는 지난 8월까지 접수 받은 농가를 대상으로 이행 여부를 점검한 뒤 보조금을 지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