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물 재배지 설치 영농형 태양광 개발
2024년 07월 29일(월) 20:51
전남도, 산자부 연구개발사업 공모 선정…3년간 국비 60억원 지원
대학·연구기관 등과 컨소시엄…표준모델 실증 연구·시공기준 확보
전남도가 농작물 재배지에 설치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시설 포준모델 개발에 나선다. 작물 위 고정식 로프탑형, 작물 간 수직 펜스형 표준모델, 유휴부지 적용 영농형 등의 태양광 표준모델을 실증 연구하고, 시공 기준을 개발하는 것이다.

전남도는 29일 “산업통상자원부(전담기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의 영농형 태양광 분야 3개 연구개발과제 공모사업에 지역 기업·대학·연구기관 등이 주관·참여한 컨소시엄의 사업계획이 모두 선정됐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통한 국가 온실가스 감축·탄소중립 대응을 위해 영농형 태양광 활용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는 판단에 따라 지난 5월 영농형 태양광 분야 연구개발과제 공모를 추진했다.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 등 영농형 태양광 분야 선진국에서 시행되는 가이드라인을 넘어 표준모델 실증연구에 기반해 세계 최초로 시공기준을 확보하고 영농형 태양광을 활성화한다는 계획이다.

전남도내 기업 ㈜유에너지, ㈜더블유피가 각각 작물 위 고정식 로프탑형, 작물 간 수직 펜스형 등 2개 과제의 주관기업 역할을 한다. 녹색에너지연구원, 한국에너지공과대, 동신대, 전남도농업기술원, ㈜칼선, 에스디엔(주) 등은 국내 영농형 태양광을 선도하고 있는 기관·기업·대학은 유휴부지 적용 영농형 연구개발과제에 참여한다. 이들 과제를 위해 2026년까지 국비 60억원이 지원될 예정이다.

전남도는 일찍이 영농형 태양광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발전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전남 농지의 5%에만 영농형 태양광을 설치해도 9GW 내외 규모의 발전설비 설치가 가능해 재생에너지100%(RE100) 전력 주 공급원, 농가 소득 증대 등 지역발전 핵심자원으로 활용할 방침이다.

실제 영광 월평마을에 국내 최초 3㎿ 규모의 주민주도형 영농형 태양광 상용화 모델 착공에 돌입했으며, 해남 솔라시도 데이터센터파크 등에 재생에너지100% 전력 공급을 위한 영농형 태양광 집적화단지도 추진 중이다. 영농형 태양광 특별법안을 마련해 국회에도 적극 건의 중이다.

강상구 전남도 에너지산업국장은 “이번 공모사업 선정은, 전남도가 영농형 태양광 연구개발부터 상용화까지 전 분야를 선도하고 있음을 증명한 셈”이라며 “지역경제 활성화와 도민 소득증대를 위해 영농형 태양광 특별법 제정·주민주도형 사업 확산을 위해 온힘을 쏟겠다”고 말했다.

/윤현석 기자 chadol@kwangju.co.kr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