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 부진에 신음하는 광주·전남 골목경제
2025년 11월 16일(일) 20:45 가가
소기업·소상공인 10명 중 6명 “경영 상황 지난해보다 더 어렵다”
절반 이상 ‘자금 사정 나쁨’…“정부·지자체 직접 자금 지원 희망”
절반 이상 ‘자금 사정 나쁨’…“정부·지자체 직접 자금 지원 희망”
광주·전남 소기업·소상공인 10곳 중 6곳이 경기 침체 장기화와 내수 부진, 물가 상승 등으로 큰 고통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 자금 사정이 나쁘다’는 응답이 절반을 넘어서고 정책자금 대출, 경영안정 자금 등 직접 자금 지원을 희망하는 이들도 많아 정부와 자치단체 차원의 획기적인 지원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소기업중앙회(중기중앙회) 광주전남지역본부가 16일 발표한 ‘광주·전남지역 소기업·소상공인 경영환경 애로 조사’에 따르면 59.0%가 ‘전년 대비 경영 상황이 악화됐다’고 답했다. 세부적으로 매우 악화가 21.0%, 다소 악화가 38.0%로 나타났다. ‘호전’(다소 호전 8.0%·매우 호전 1.0%)이라고 답한 이들은 9.0%로 극소수에 불과했다.
경영 상황 악화의 주된 원인으로는 내수 부진(경기 침체)이 71.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판로 개척·매출 부진(36.2%), 물가·최저 임금 등 인건비 인상(20.3%)이 뒤를 이었다.
지역별로 광주에서는 내수 부진(76.4%)과 판로 개척·매출 부진(41.6%)이 비교적 높았고 전남지역에서는 자금 조달·운용 자금 부족(12.5%)이 높게 나타났다.
현재 자금 사정에 대한 질문에는 나쁨(매우 나쁨 16.7%·다소 나쁨 34.0%) 답변이 절반 이상을 차지해 지역 소상공인들의 체감 경기가 매우 어려운 수준임을 시사했다.
사업 자금 조달 방안은 금융권 대출(1·2금융권)이 39.3%로 가장 높았으며 소상공인 관련 정책자금 활용(23.7%), 가족·지인 등 주변인을 통함(22.0%), 개인 자금·매출 등 활용(9.0%) 순이었다.
자금 조달 시 겪는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54.3%가 높은 대출 금리에 이자 부담을 꼽았고 ‘대출 조건 충족이 어려움’이 29.0%, ‘정책 자금 신청 절차가 복잡하고 어려움’이 26.7%, ‘자금 지원 정책 정보가 부족함’이 14.3% 등으로 나타났다.
정부·지자체 지원 소상공인 정책 이용 여부에 대해서는 ‘이용한 적 있다’(52.3%)고 답한 이들이 ‘이용한 적 없다’(47.7%)보다 많았다.
이용한 적 없는 주된 이유는 정보 접근성 부족이 44.8%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정책 실효성 부족(32.9%), 신청 요건·절차의 진입 장벽(25.2%) 등이었다. 중기중앙회 광주전남지역본부는 절반에 가까운 47.7%가 정부·지자체 지원 정책을 이용한 적 없는 것은 정책 홍보와 제도 정비, 절차 간소화의 필요함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소상공인을 위해 우선적으로 강화해야 할 정책 지원 분야로는 ‘내수 활성화와 소비 촉진’이 36.7%로 가장 높았고 금융·대출 지원 강화(33.7%), 세제 혜택·세무 부담 완화(15.0%) 등이 뒤를 이었다.
또 정책 지원 시 가장 필요한 지원 형태로 ‘직접 자금 지원’(정책자금 대출, 경영안정 자금)이라는 응답이 55.7%로 가장 높게 나타나 정부·지자체 지원에 대한 소상공인의 가장 큰 바람이 금융 지원 확대임을 드러냈다.
조동석 중기중앙회 광주전남지역본부장은 “지역 경제의 허리인 소상공인이 고금리 터널과 내수 한파를 무사히 지나야만 지역 경제도 살아날 수 있다”며 “정부와 지자체가 현장 목소리에 귀 기울여 실질적인 경영 안정에 기여할 수 있는 섬세한 제도 개선을 해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20일부터 31일까지 광주·전남지역 소기업·소상공인 300개사 대상, 설문지를 통한 대면·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됐다. 중기중앙회 광주전남지역본부는 이번 조사를 통해 지역 소기업·소상공인의 경영 환경과 애로사항을 파악하고 정책 지원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
‘현재 자금 사정이 나쁘다’는 응답이 절반을 넘어서고 정책자금 대출, 경영안정 자금 등 직접 자금 지원을 희망하는 이들도 많아 정부와 자치단체 차원의 획기적인 지원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경영 상황 악화의 주된 원인으로는 내수 부진(경기 침체)이 71.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판로 개척·매출 부진(36.2%), 물가·최저 임금 등 인건비 인상(20.3%)이 뒤를 이었다.
사업 자금 조달 방안은 금융권 대출(1·2금융권)이 39.3%로 가장 높았으며 소상공인 관련 정책자금 활용(23.7%), 가족·지인 등 주변인을 통함(22.0%), 개인 자금·매출 등 활용(9.0%) 순이었다.
자금 조달 시 겪는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54.3%가 높은 대출 금리에 이자 부담을 꼽았고 ‘대출 조건 충족이 어려움’이 29.0%, ‘정책 자금 신청 절차가 복잡하고 어려움’이 26.7%, ‘자금 지원 정책 정보가 부족함’이 14.3% 등으로 나타났다.
정부·지자체 지원 소상공인 정책 이용 여부에 대해서는 ‘이용한 적 있다’(52.3%)고 답한 이들이 ‘이용한 적 없다’(47.7%)보다 많았다.
이용한 적 없는 주된 이유는 정보 접근성 부족이 44.8%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정책 실효성 부족(32.9%), 신청 요건·절차의 진입 장벽(25.2%) 등이었다. 중기중앙회 광주전남지역본부는 절반에 가까운 47.7%가 정부·지자체 지원 정책을 이용한 적 없는 것은 정책 홍보와 제도 정비, 절차 간소화의 필요함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소상공인을 위해 우선적으로 강화해야 할 정책 지원 분야로는 ‘내수 활성화와 소비 촉진’이 36.7%로 가장 높았고 금융·대출 지원 강화(33.7%), 세제 혜택·세무 부담 완화(15.0%) 등이 뒤를 이었다.
또 정책 지원 시 가장 필요한 지원 형태로 ‘직접 자금 지원’(정책자금 대출, 경영안정 자금)이라는 응답이 55.7%로 가장 높게 나타나 정부·지자체 지원에 대한 소상공인의 가장 큰 바람이 금융 지원 확대임을 드러냈다.
조동석 중기중앙회 광주전남지역본부장은 “지역 경제의 허리인 소상공인이 고금리 터널과 내수 한파를 무사히 지나야만 지역 경제도 살아날 수 있다”며 “정부와 지자체가 현장 목소리에 귀 기울여 실질적인 경영 안정에 기여할 수 있는 섬세한 제도 개선을 해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20일부터 31일까지 광주·전남지역 소기업·소상공인 300개사 대상, 설문지를 통한 대면·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됐다. 중기중앙회 광주전남지역본부는 이번 조사를 통해 지역 소기업·소상공인의 경영 환경과 애로사항을 파악하고 정책 지원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