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도시’ 광주?…시민은 체감 힘들고 지역기업 지원은 ‘패싱’
2025년 11월 16일(일) 19:40 가가
광주시의회, AI기업 조찬간담회…기업들, 예산 집행방식 개편 목소리
“AI 예산 50% 이상 지역 기업에 지원·시민 체감형 서비스 확대해야”
“AI 예산 50% 이상 지역 기업에 지원·시민 체감형 서비스 확대해야”
광주시가 6000억원 규모 2단계 ‘AX 실증밸리’(AI를 현장에 적용해 실증하는 단지) 사업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지역 AI 기업과 전문가들은 예산 집행방식을 전면 개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역 기업·시민에게 예산 투입의 효과가 미치도록 집행 방식과 전략을 손실해야 한다는 목소리다.
광주시의회 인공지능 실증도시 특별위원회(위원장 강수훈)는 지난 14일 시의회 대회의실에서 AI 기업과 유관기관 관계자 4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차 AI기업 조찬간담회’를 열었다.
간담회에서 김운섭 광주테크노파크(TP) 정책기획본부장은 ‘AI모델 발전 트렌드’ 발제를 통해 “AI의 미래가 물리적 AI(Physical AI)와 휴머노이드 로봇에 있다”며 “광주가 자동차 부품 산업 기반(200여 개사)을 활용해 ‘글로벌 휴머노이드 제조 혁신 허브’로 도약해야 한다”고 비전을 제시했다.
이어 강재혁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AICA) 미래전략실장은 6000억 원 규모의 2단계 사업 ‘AX실증밸리 조성’ 계획을 발표했다. 1단계 인프라를 기반으로 교통, 복지 등 시민 일상에 AI를 구현하는 시민 체감형 서비스를 본격화하겠다는 구상이다.
토론에서는 예산집행 방식 등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쏟아져 나왔다.
기업과 전문가들은 “AI사업이 기술 개발 중심의 ‘그들만의 리그’로 전락하고 있다”면서 “AI 예산의 50% 이상을 지역 기업에 직접 지원하도록 예산 집행 방식을 전면 개편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정숙경 AI+SPSS사회정책연구소장은 “현재 광주의 AI 예산이 외부 기업이나 경쟁력 없는 일부 기업에 의해 소모되고 있어, 정작 지역 AI 기업 생태계 구축에는 실패하고 있다”고 직격했다.
AI 사업이 시민들의 삶과 괴리돼 있다는 지적도 잇따랐다. 박남언 시의회 사무처장은 “과거 문화수도 사업처럼 AI 사업이 시민들이 체감하지 못하는 ‘그들만의 리그’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경고하며, 시민 대상 AI 교육 프로그램 확대를 제안했다.
김귀성 아이디(주) 대표이사도 “광주가 AI 사업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시민들이 전혀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자율주행차 운행처럼 눈으로 볼 수 있는 가시적인 성과를 통해 공감대를 형성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사업 방향성과 거버넌스에 대한 의문도 제기됐다. 전경훈 드림투데이 기자는 “6000억원 규모의 2단계 사업이 과기부, 산업부 등으로 쪼개져 컨트롤 타워가 보이지 않는다”며 기존 GPU 중심에서 차세대 NPU(신경망처리장치)로의 전략 전환 타당성에 대해 질문했다.
이에 대해 오상진 AICA 단장과 최태조 시 인공지능산업실장은 “GPU(학습)와 NPU(활용)는 대치되는 개념이 아니라 순차적으로 필요한 단계”라며 “NPU는 향후 수요가 급증할 분야로 국내 산업 기반이 탄탄해 경제적 파급 효과가 크다”고 설명했다. 또한 “AX 실증 밸리 사업은 본질적으로 광주의 사업이며, 모든 실증을 광주에서 진행해 지역 파급 효과를 극대화하겠다”고 강조했다.
기업 현장의 실질적인 어려움을 토로하는 목소리도 이어졌다.
장현용 전남대 교수는 “기업이 시민 대상 AI 서비스를 실증하려 해도 행정적, 절차적 장벽에 부딪히는 경우가 다반사”라며 “시와 의회 차원에서 대학 등 중간지원조직과 협력해 기업 실증을 원활하게 지원하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최현호 주식회사 퍼니브라운 대표는 “기업들이 제품 생산 후 마케팅에 약하다”며 “실증 사업 기획 단계부터 통합 마케팅 전문 기업과 연계해 시너지를 내야 한다”고 건의했다.
김철현 이스트소프트 전략실장은 “AI 교육 대상을 중·고등학생까지 확대하고, 이들이 직접 기업 R&D에 참여할 수 있는 실증 테스트베드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수훈 AI 특위 위원장은 “오늘 제기된 지역기업 참여 보장, 예산 분배 문제, 시민 체감형 서비스 부재 등은 특위가 풀어야 할 핵심 과제”라며 “기업과 집행부 사이의 거리감을 좁히는 역할을 하겠다. 주신 의견들을 정리해 집행부와 적극적으로 논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간담회에서 김운섭 광주테크노파크(TP) 정책기획본부장은 ‘AI모델 발전 트렌드’ 발제를 통해 “AI의 미래가 물리적 AI(Physical AI)와 휴머노이드 로봇에 있다”며 “광주가 자동차 부품 산업 기반(200여 개사)을 활용해 ‘글로벌 휴머노이드 제조 혁신 허브’로 도약해야 한다”고 비전을 제시했다.
기업과 전문가들은 “AI사업이 기술 개발 중심의 ‘그들만의 리그’로 전락하고 있다”면서 “AI 예산의 50% 이상을 지역 기업에 직접 지원하도록 예산 집행 방식을 전면 개편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정숙경 AI+SPSS사회정책연구소장은 “현재 광주의 AI 예산이 외부 기업이나 경쟁력 없는 일부 기업에 의해 소모되고 있어, 정작 지역 AI 기업 생태계 구축에는 실패하고 있다”고 직격했다.
AI 사업이 시민들의 삶과 괴리돼 있다는 지적도 잇따랐다. 박남언 시의회 사무처장은 “과거 문화수도 사업처럼 AI 사업이 시민들이 체감하지 못하는 ‘그들만의 리그’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경고하며, 시민 대상 AI 교육 프로그램 확대를 제안했다.
김귀성 아이디(주) 대표이사도 “광주가 AI 사업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시민들이 전혀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자율주행차 운행처럼 눈으로 볼 수 있는 가시적인 성과를 통해 공감대를 형성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사업 방향성과 거버넌스에 대한 의문도 제기됐다. 전경훈 드림투데이 기자는 “6000억원 규모의 2단계 사업이 과기부, 산업부 등으로 쪼개져 컨트롤 타워가 보이지 않는다”며 기존 GPU 중심에서 차세대 NPU(신경망처리장치)로의 전략 전환 타당성에 대해 질문했다.
이에 대해 오상진 AICA 단장과 최태조 시 인공지능산업실장은 “GPU(학습)와 NPU(활용)는 대치되는 개념이 아니라 순차적으로 필요한 단계”라며 “NPU는 향후 수요가 급증할 분야로 국내 산업 기반이 탄탄해 경제적 파급 효과가 크다”고 설명했다. 또한 “AX 실증 밸리 사업은 본질적으로 광주의 사업이며, 모든 실증을 광주에서 진행해 지역 파급 효과를 극대화하겠다”고 강조했다.
기업 현장의 실질적인 어려움을 토로하는 목소리도 이어졌다.
장현용 전남대 교수는 “기업이 시민 대상 AI 서비스를 실증하려 해도 행정적, 절차적 장벽에 부딪히는 경우가 다반사”라며 “시와 의회 차원에서 대학 등 중간지원조직과 협력해 기업 실증을 원활하게 지원하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최현호 주식회사 퍼니브라운 대표는 “기업들이 제품 생산 후 마케팅에 약하다”며 “실증 사업 기획 단계부터 통합 마케팅 전문 기업과 연계해 시너지를 내야 한다”고 건의했다.
김철현 이스트소프트 전략실장은 “AI 교육 대상을 중·고등학생까지 확대하고, 이들이 직접 기업 R&D에 참여할 수 있는 실증 테스트베드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수훈 AI 특위 위원장은 “오늘 제기된 지역기업 참여 보장, 예산 분배 문제, 시민 체감형 서비스 부재 등은 특위가 풀어야 할 핵심 과제”라며 “기업과 집행부 사이의 거리감을 좁히는 역할을 하겠다. 주신 의견들을 정리해 집행부와 적극적으로 논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