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 하늘길, 멈출 수 없다”…광주공항 국제선 ‘임시취항’ 카드 급부상
2025년 11월 17일(월) 11:50
무안 참사 장기 조사 예상…국토부 로드맵 즉시 제시 촉구, 박수기 시의원 주장과 정면 배치 ‘논란’

강수훈 광주시의원.

12·29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호남의 하늘길이 사실상 전면 중단된 가운데, 광주시의회 내부에서 해법을 두고 엇갈린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강수훈(서구 1선거구) 시의원은17일 5분발언을 통해 “참사 진상규명에는 수년이 걸릴 것”이라며 “국토부가 로드맵을 제시하지 못한다면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 취항이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제안했다.

이는 최근 같은 당 박수기(광산구 5선거구) 시의원이 “비극적 참사에도 불구하고 광주·전남의 상생을 위한 ‘무안공항 일원화’ 원칙은 지켜져야 한다”고 강조한 것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주장이어서, ‘광주·무안공항’ 해법을 둘러싼 지역 정가의 논쟁이 재점화될 조짐이다.

강 의원은 “179명의 생명이 희생된 이번 참사는 1985년 재팬 에어라인, 1994년 US 에어 사고 등 해외 대형 항공사고 사례처럼 조사가 4~5년 이상 걸리는 장기 구조”라며 “단기간에 성급히 결론을 내리면 또 다른 참사의 씨앗을 남기는 것”이라고 철저한 진상규명을 촉구했다.

이어 “호남의 하늘길이 최소 수년 이상 단절될 가능성이 높은데도 국토부는 무안공항 정상화 시점, 이동권 보완 대책 등 어떤 로드맵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이는 국가가 지역 주민의 이동권과 경제권을 방치하는 중대한 문제”라고 비판했다.

강 의원은 대안으로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 취항을 꺼내 들었다.

그는 “광주공항은 과거 국제선을 운항했던 ‘준비된 공항’”이라며 “새로운 시설투자 없이 기존 인프라의 제한적 재가동만으로 운영이 가능하고, 이는 정부의 ‘권역별 국제공항 기능 분담’ 원칙에도 부합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현재 호남권 국제선 기능은 ‘제로’”라며 “광주공항 임시 취항은 무안공항이 시간에 쫓기지 않고 진상 규명에 집중하도록 돕는 ‘상생 전략’”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강 의원의 이러한 제안은 “광주공항의 기능을 다시 살리는 것은 무안공항 활성화를 염원하는 전남도민과의 약속을 깨는 것”이라며 ‘무안공항 일원화’ 원칙 고수를 주장한 박수기 의원의 입장과 정반대되는 것이다.

참사 희생자의 절반 이상이 광주시민인 비극 속에서, 무너진 하늘길을 복원할 해법을 두고 광주시의회 내부에서부터 이견이 노출되면서 향후 지역 사회의 논의가 순탄치만은 않을 전망이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