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원식 의원, “국회의장은 사회자 아냐 …민심 따라야”
2024년 05월 16일(목) 20:50 가가
추미애 꺾고 민주당 22대 전반기 국회의장 후보 당선
“여야 협의 중시하지만 합의 안되면 국회법 따라 처리”
“여야 협의 중시하지만 합의 안되면 국회법 따라 처리”


이재명 대표 “이것이 당심”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왼쪽)가 1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당대표실에서 이날 국회의장 후보로 선출된 우원식 의원을 만나 포옹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22대 전반기 국회의장으로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의원이 16일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당선인 총회에서 추미애 당선인을 꺾고 전반기 국회의장 후보로 뽑혔다.
우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22대 국회의원 당선자 총회에서 당선 수락 인사를 통해 “여야 간 협의를 중시하지만, 민심에 어긋나는 퇴보나 지체가 생긴다면 여야가 동의해서 만든 국회법에 따라 처리해나갈 것”며 “앞의 국회와는 완전히 다른 국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중립은 몰(沒)가치가 아니다. 국민의 삶을 편안하게 만들고 국민의 권리를 향상시켜 나가겠다”며 “국회의장은 단순한 사회자가 아니다. 국회를 구성한 국민의 민심을 그대로 반영해 나가는 국회의장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이어 “의정 단상에서만 만나는 의장, 구름 위에 떠 있는 의장이 아니라 국민들의 삶 안에 깊숙이 발을 붙이고 국민과 함께 고통을 나누고 사회적 약자의 권리를 보장해나가는 그런 길로 나아가겠다”고 다짐했다.
우 의원은 총회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국민에게 이득, 도움이 되는 법인데 정파, 정략적 문제로 잘 (합의가) 안 된다고 하면 국민의 동의를 얻어서 (국회의장) 직권상정은 국회법이 정하고 있는 것이고 여야가 동의해서 만든 것이니 국회법 절차에 따라 하겠다”고 재차 설명했다.
그는 대통령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에 대해선 “국민에게 꼭 필요한 법을 지속적으로 거부하는 건 헌법에서 정한 입법권을 부정, 침해하는 일”이라며 “대통령의 거부권은 아주 제한적으로, 국민이 동의할 만한 사유가 있어야 행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우 의원은 또 “윤석열 정권 들어서고 국회 압수수색이 22번 있었는데 그중에 95%가 민주당과 관련된 압수수색”이라며 “압수수색에 국회의장의 동의를 얻어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아주 엄격하게 꼭 필요한 일인지 살펴보고 하겠다”고 말했다.
4·10 총선에서 5선에 성공한 우 의원은 이날 예상을 깨고 재적 과반을 득표, 추미애(66) 당선인을 꺾고 전반기 국회의장 후보로 뽑혔다. 애초 민주당 내 국회의장 후보 경선 구도는 추 당선인과 우 의원에 더해 6선의 조정식 의원과 5선 정성호 의원까지 4파전으로 전개됐으나 조·정 의원이 지난 12일 전격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2파전 구도로 압축됐다.
이에 따라 추 당선인 쪽으로 급격히 무게추가 기울었다는 관측이 지배적이었지만, 실제 개표 결과는 예상과는 다르게 귀결됐다.
민주당 몫 국회부의장 후보는 4선이 되는 이학영(경기 군포) 의원이 선출됐다.
국회의장은 원내 1당이 내는 것이 관례로, 각 당이 의장 및 부의장 후보를 추천하면 다음 달 5일로 예정된 22대 국회 첫 본회의에서 표결을 거쳐 확정된다. 가결 요건은 재적 의원 과반으로, 22대 국회 당선인의 압도적 과반이 민주당 소속인 만큼 우 후보의 전반기 국회의장 선임은 사실상 확정적이다.
한편 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이날 이와 관련 “당선자들이 판단한 것이니 이 결과가 당심이라고 봐야 하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이 대표는 이날 경선 뒤 기자들을 만나 ‘그동안 당심이 추 당선인에게 있다는 분석이 많았는데 결과는 다르게 나왔다’라는 질문을 받자 이같이 답했다. 이 대표는 ‘의장 선거 과정에서 이 대표의 의중이 반영됐다는 얘기도 있었다’라는 질문에는 “저도 (다른 당선인들과 같은) 한 표”라고만 언급했다.
/오광록 기자 kroh@kwangju.co.kr·연합뉴스
우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22대 국회의원 당선자 총회에서 당선 수락 인사를 통해 “여야 간 협의를 중시하지만, 민심에 어긋나는 퇴보나 지체가 생긴다면 여야가 동의해서 만든 국회법에 따라 처리해나갈 것”며 “앞의 국회와는 완전히 다른 국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우 의원은 또 “윤석열 정권 들어서고 국회 압수수색이 22번 있었는데 그중에 95%가 민주당과 관련된 압수수색”이라며 “압수수색에 국회의장의 동의를 얻어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아주 엄격하게 꼭 필요한 일인지 살펴보고 하겠다”고 말했다.
4·10 총선에서 5선에 성공한 우 의원은 이날 예상을 깨고 재적 과반을 득표, 추미애(66) 당선인을 꺾고 전반기 국회의장 후보로 뽑혔다. 애초 민주당 내 국회의장 후보 경선 구도는 추 당선인과 우 의원에 더해 6선의 조정식 의원과 5선 정성호 의원까지 4파전으로 전개됐으나 조·정 의원이 지난 12일 전격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2파전 구도로 압축됐다.
이에 따라 추 당선인 쪽으로 급격히 무게추가 기울었다는 관측이 지배적이었지만, 실제 개표 결과는 예상과는 다르게 귀결됐다.
민주당 몫 국회부의장 후보는 4선이 되는 이학영(경기 군포) 의원이 선출됐다.
국회의장은 원내 1당이 내는 것이 관례로, 각 당이 의장 및 부의장 후보를 추천하면 다음 달 5일로 예정된 22대 국회 첫 본회의에서 표결을 거쳐 확정된다. 가결 요건은 재적 의원 과반으로, 22대 국회 당선인의 압도적 과반이 민주당 소속인 만큼 우 후보의 전반기 국회의장 선임은 사실상 확정적이다.
한편 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이날 이와 관련 “당선자들이 판단한 것이니 이 결과가 당심이라고 봐야 하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이 대표는 이날 경선 뒤 기자들을 만나 ‘그동안 당심이 추 당선인에게 있다는 분석이 많았는데 결과는 다르게 나왔다’라는 질문을 받자 이같이 답했다. 이 대표는 ‘의장 선거 과정에서 이 대표의 의중이 반영됐다는 얘기도 있었다’라는 질문에는 “저도 (다른 당선인들과 같은) 한 표”라고만 언급했다.
/오광록 기자 kroh@kwangju.co.kr·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