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 소상공인 대출 상환유예 끝…금융당국 대출부실 불안 진화 나서
2023년 08월 29일(화) 16:30
금융위, 대출연장·상환유예 연장 현황 발표
광주·전남 신보 보증사고 증가 등 부실대출 폭탄 우려 잠재우기 나서
“대출잔액 24%↓·차주 20%↓…지속 감소 추세

/클립아트코리아

코로나19로 경영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해 시행됐던 대출 상환유예 조치가 오는 9월 말 종료돼 이들의 부담이 가중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자 금융 당국이 진화에 나섰다.

경기침체로 코로나 확산 당시 대출을 받았던 광주·전남지역 소상공인들이 대출금을 갚지 못해 지역 신용보증재단의 보증사고 금액이 증가하는 등 어려움이 이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상환유예 조치가 끝나 지역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대출 원금과 이자를 갚기 시작해야 하면, 줄폐업과 도산으로 이어지는 등 지역경제가 위기에 빠질 수 있는 불안이 이어졌다.

이에 대해 금융당국은 만기연장 및 상환유예 지원 조치가 종료돼도 일괄 만기가 돌아오는 구조가 전혀 아니라며 불안을 잠재우기에 나선 것이다.

금융위원회는 29일 코로나19 대출 만기연장 및 상환유예 잔액이 9개월 새 100조원에서 76조원 수준으로 감소했다고 밝혔다.

지난 6월 말 기준 만기연장·상환유예 지원 금액과 이용 차주는 약 76조2000억원, 35만1000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9월 말 기준 약 100조1000억원, 43만4000명과 비교하면 각각 23조9000억원, 8만3000명 감소했다. 대출잔액 기준으로 약 24%, 차주 수 기준으로 20%가량 줄어든 것으로, 차주들의 순조로운 연착륙이 진행되는 것으로 금융당국은 평가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만기연장 잔액은 같은 기간 90조6000억원에서 71조원으로, 상환유예 잔액은 9조4000억원에서 5조2000억원으로 줄었다.

상환유예 잔액 중 원금 상환유예는 7조4000억→4조1000억원, 이자 상환유예는 2조1000억→1조1000억원 등이다.

금융당국은 코로나19가 확산함에 따라 2020년 4월 경영위기에 빠져 유동성 문제를 겪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대출에 대해 만기연장 및 원금·이자 상환 유예를 지원했다.

이번 지원이 다음 달을 끝으로 종료되면서 그동안 각종 지원 조치로 억눌러왔던 대출 부실이 ‘폭탄’으로 작용, 한 번에 터질 수 있다는 우려가 경제계 안팎에서 계속됐다.

실제 올 상반기(1~6월) 보증사고율은 광주신용보증재단 4.22%, 전남신보 4.3%로 전년 상반기 대비 각각 2.63%포인트, 2.82%포인트 증가했다.

신용등급이 좋지 못한 소상공인들이 지역 신보로부터 보증을 받고 은행에서 돈을 빌렸지만, 기한 내 돈을 갚지 못한 사례가 전년 대비 두 배 상당 증가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같은 기간 보증사고 금액도 광주신보가 전년 한 해 총 금액(247억원)을 이미 넘어선 258억원으로, 전남신보도 전년 한 해(248억원) 액수를 넘어선 267억원을 기록 중이다.

이처럼 어려움이 계속되는 가운데 상환유예 조치마저 끝나면 상환 압박을 견디지 못한 지역 소상공인들이 벼랑 끝에 내몰릴 수 있어서다.

하지만 금융당국은 9월 말이 돼도 만기연장·상환유예 해 온 대출의 일괄 만기가 돌아오는 게 아니고, 지난해 9월 마련된 금융권 ‘연착륙 지원 방안’에 따른 조치들이 이어진다는 점을 강조했다.

연착륙 지원 방안에 따르면 만기연장 차주는 2025년 9월까지 만기 연장을 지원받을 수 있다. 만기연장·상환유예 대출 잔액 중 만기연장 잔액이 90%가 넘기 때문에 사실상 정책 지원 효과가 당분간 지속되는 효과가 있다.

상환유예는 금융회사와 차주 간 협의를 통해 마련된 상환계획서에 따라 거치기간(1년) 및 분할상환(최대 60개월)이 적용된다.

6월 말 기준 상환계획 수립 대상자(1만1111명) 중 98.1%가 상환 계획 수립을 마쳤다.

금융위는 미수립 차주 약 200여명에 대해서는 금융회사와의 협의가 신속히 마무리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금융위는 “이자 상환유예 대출 잔액은 전체 잔액 대미 1.5%, 차주 수는 800명 규모”라며 “상대적으로 부실 위험이 있지만 불가피한 경우 금융사 자체 연착륙 지원 프로그램, 새출발기금 등 채무조정 등 금융 편의를 지원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또 800명 규모의 이자 상환유예 차주에 대해서는 1대 1 차주별 관리도 이어 나간다는 방침이다.

/박기웅 기자 pboxer@kwangju.co.kr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