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 장애인 쇼핑 카트 실효성 제고를
2022년 11월 30일(수) 00:05 가가
보건복지부는 지난 7월 28일부터 대형마트에 장애인을 위한 쇼핑 카트를 의무적으로 갖추도록 하는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 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일부 개정안’을 시행했다. 이마트와 홈플러스, 하나로마트 등 전국 426개소 대형마트들이 장애인용 쇼핑 카트를 세 개 이상 비치하도록 의무화했다. 그러나 4개월이 지난 현재 장애인들의 일상생활에 편의를 증진한다는 법 도입 취지에 무색하게 제대로 운용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일보 취재팀이 휠체어를 이용하는 20대 장애인과 함께 직접 광주 지역 대형마트 두 곳을 찾아 확인해 보니 장애인용 쇼핑 카트 비치 장소에 대한 안내가 미흡해 찾기조차 힘들었다. 대형마트 1층에도 장애인용 쇼핑 카트 위치를 알려주는 입간판이나 안내문이 설치돼 있지 않았다. 게다가 직원에게 문의해 찾은 장애인용 쇼핑 카트는 수동 휠체어와 연결할 수 없는 다른 규격이어서 이용할 수 없었다. 계산대와 계산대 사이 폭은 휠체어가 지나가기 힘들 정도로 비좁았다.
장애인용 쇼핑카드 비치 의무가 적용되지 않는 동네 식자재 마트들도 장애인에 대한 배려가 부족했다. 대형마트보다 통로가 좁아 휠체어를 탄 채 다른 고객과 교차해서 지나갈 수가 없었고, 필요로 하는 제품들 상당수는 손이 닿지 않는 높은 곳에 진열돼 있었다.
열악한 쇼핑 환경으로 인해 장애인들은 일상생활 속에서 많은 불편을 감내해야 한다. 이러한 여건 속에서 장애인들은 누군가의 도움 없이도 자립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대형마트에서도 불편 없이 장보기를 할 수 있기를 바란다.
대형마트들은 법 도입 취지를 살려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들의 장보기에 어려움이 없도록 불편 사항을 개선해 나가야 한다. 지자체들도 대형마트의 장애인 쇼핑 카트 비치 및 사용 실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해 제도의 실효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대형마트들은 법 도입 취지를 살려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들의 장보기에 어려움이 없도록 불편 사항을 개선해 나가야 한다. 지자체들도 대형마트의 장애인 쇼핑 카트 비치 및 사용 실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해 제도의 실효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