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연구원 분리보다 역량·효율 제고를
2022년 11월 24일(목) 00:05
광주·전남 지역 발전의 ‘싱크 탱크’(think tank)인 광주전남연구원을 다시 분리하자는 주장이 잇따라 제기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전경선 전남도의회 부의장은 지난 21일 예산안 심사 과정에서 “산업·문화·지리적 여건 등 생활환경이 다른 양 시도가 광주전남연구원을 계속 통합 운영하는 것이 맞는지 고민해야 할 때”라며 연구원 분리의 공론화를 주장했다. 다른 전남도의원들도 연구원이 광주·전남 공동 현안 과제에 대해 합리적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원 분리 문제를 거론한 것은 전남도의회가 처음은 아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지난달 광주시의회 답변에서 “광주전남연구원을 상생 차원에서 통합 운영해 왔는데 과연 방향이 맞는지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것 같다”고 밝혔다.

광주전남연구원은 1991년 전남발전연구원으로 처음 개원한 이후 1995년 연구 기능 일원화 취지에 따라 광주전남연구원으로 명칭을 바꿔 통합됐다. 하지만 2007년 도시와 농촌의 행정과 연구 영역이 다르다는 이유로 광주발전연구원과 전남발전연구원으로 분리됐다. 이후 민선 6기인 2015년 광주·전남 상생 1호 과제로 다시 통합돼 시도의 정책·용역·자체 연구 등을 수행하고 있다.

우리는 과거 연구원이 나뉘어 있던 시절 양측이 각각의 지역만을 대변한 연구 성과를 내놓으면서 공동 현안에 대해 갈등만 부추겼던 전철을 되짚어 봐야 한다. 특히 현재 연구원이 안고 있는 한계는 광주시와 전남도가 자초한 측면이 있다. 타 지역에 비해 출연금이 적고, 연구 인력도 부족해 위상마저 불안정하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연구원을 다시 쪼개 운영할 경우 광주시와 전남도의 단순 용역 기관으로 전락할 우려가 높다. 따라서 시도는 광주전남연구원이 지역 미래와 직결되는 연구 기능을 총괄할 수 있도록 역량을 강화하고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지원부터 서둘러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통합의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뒷받침하는 것이 먼저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