휠체어 수리센터 늘려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2022년 10월 24일(월) 00:05
장애인들의 휠체어 등 보장구 수리 서비스에 대한 요청이 늘고 있지만, 국가의 지원을 받아 수리할 수 있는 곳이 턱없이 부족하고 수리 기간도 길어 불편이 커지고 있다.

보건복지부 산하 중앙보조기기센터에 따르면 광주에서 장애인 보장구를 국가에서 지원받아 수리할 수 있는 곳은 ‘광주지체장애인협회’ 단 한 곳뿐이다. 전남에는 다섯 곳이 있어 많아 보이지만 순천과 해남에만 네 곳의 업체가 몰려 있는 상황이어서, 그 외 지역의 장애인들은 무안에 있는 ‘전라남도 장애인보조기구 수리센터’ 한 곳에 의지하고 있다. 타 시도의 경우 국가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장애인 보장구 수리 시설이 경기도에 67개가 있고 부산시에 네 개, 광주와 도시 규모가 비슷한 대전·대구시에도 각각 두 개가 운영되고 있다.

더욱이 광주 지역의 경우 두 명에 불과한 직원들이 상담은 물론 수리·행정 업무까지 도맡아 매년 증가하는 수리 요청을 감당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의 경우 수리 건수가 1639건에 달했는데, 직원 한 명이 연간 800건 이상 처리해야 하다 보니 수리 기간이 일주일을 넘기는 게 다반사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장애인들은 국가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공공기관의 수리센터 이용을 포기한 채 가격이 비싼 사설 업체에 수리를 맡기는 등 불편과 부담을 감내하고 있다. 정부가 장애인 복지에 눈을 감고 기본적인 이동권 보장조차 가로막고 있다는 비판이 쏟아지는 이유다.

장애인들에게 휠체어는 주요 이동 수단이며, 부품 하나하나는 무릎과 연골의 역할을 한다. 지자체들은 지역 내 장애인 보장구 수리 서비스 이용 현황과 실태를 면밀하게 파악해 국가 지원 수리 시설 확충 등 개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아울러 장애인을 위한 저상버스 및 특별 교통수단 예산도 늘려 장애인의 이동권을 폭넓게 보장해야 할 것이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