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안게임 공동 유치 공론화 절차부터
2022년 10월 19일(수) 00:05 가가
광주시와 대구시가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2038년 아시안게임’ 유치에 제동이 걸렸다. 양 지역 지방의회가 비용 대비 경제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동의안 처리를 보류한 것이다.
광주시와 대구시는 지난해 5월 공동 유치 계획을 전격 발표한 이후 11월 공동유치 준비위원회를 출범시켜 본격적인 유치 작업에 나섰다. 양 도시는 올해 말까지 지방의회 동의를 거쳐 대한체육회에 국제행사 개최 계획서를 제출하고, 내년에 정부의 타당성 조사와 심의 결과를 토대로 2024년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에 유치 신청서를 접수한다는 구상이었다.
한데 첫 공식 절차인 지방의회 동의 과정부터 제동이 걸렸다. 대구시는 그제 ‘공동 유치 동의안’을 시의회 상임위에 상정했으나 논란 끝에 유보됐다. 광주시의회의 경우 동의안이 상임위를 통과했지만 어제 의원 간담회에서 본회의에 상정하지 않고 보류하기로 했다. 보류의 가장 큰 이유는 시비만 각각 2200억 원 이상 투입되는 등 예상 사업비가 1조 원을 넘지만 경제성은 장담할 수 없다는 점에서였다.
시민단체들의 반발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광주경실련과 대구참여연대 등은 성명서를 통해 “대회 유치에 천문학적 예산이 드는 데 비해 효과 검증 절차도 없이 급하게 진행되고 있다”며 동의안 처리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광주시와 대구시는 그동안 대규모 국제대회 개최 경험 등을 토대로 ‘저비용 고효율’ 대회를 자신하고 있다. 성공하면 국제 스포츠도시로 도약하고 달빛동맹과 영호남 상생을 공고히 다지는 효과도 있다.
하지만 흥행을 장담할 수 없는 국제대회를 공론화 과정도 없이 밀어붙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국제대회 개최 이후 빚더미에 허덕이는 도시들도 적지 않다. 광주시는 지금이라도 공론화 절차를 통해 시민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고 타당성과 효율성을 면밀히 따져 봐야 할 것이다.
광주시와 대구시는 지난해 5월 공동 유치 계획을 전격 발표한 이후 11월 공동유치 준비위원회를 출범시켜 본격적인 유치 작업에 나섰다. 양 도시는 올해 말까지 지방의회 동의를 거쳐 대한체육회에 국제행사 개최 계획서를 제출하고, 내년에 정부의 타당성 조사와 심의 결과를 토대로 2024년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에 유치 신청서를 접수한다는 구상이었다.
하지만 흥행을 장담할 수 없는 국제대회를 공론화 과정도 없이 밀어붙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국제대회 개최 이후 빚더미에 허덕이는 도시들도 적지 않다. 광주시는 지금이라도 공론화 절차를 통해 시민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고 타당성과 효율성을 면밀히 따져 봐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