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반 엇갈리는 트램 타당성 면밀히 검증해야
2022년 08월 26일(금) 01:30
광주시가 민선 8기 들어 수소 트램(Tram·노면 전차) 도입을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도시철도 사각지대에 친환경 교통수단을 연결해 접근성을 높이겠다는 취지다. 하지만 비좁고 막히는 도로에 트램을 설치하면 오히려 교통 혼잡이 심해질 수 있다는 주장도 동시에 제기되고 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민선 8기 첫 조직 개편에서 ‘철도 트램 정책팀’을 신설하고, 용역비 1억 원을 추경 예산에 편성하는 등 트램 사업에 대한 강한 추진 의지를 보이고 있다. 시는 최근 국민의힘과의 예산정책협의회에서 트램 건설에 대한 국비 지원을 건의했다가 거부당하자 자체 예산으로 진행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광주시가 우선 추진하는 트램 사업 1단계는 도시철도 1호선 농성역~종합버스터미널~전방·일신방직~기아챔피언스필드를 잇는 2.6㎞ 노선으로 사업비는 720억 원가량이다.

광주시는 트램에 장점이 많다고 진단한다. 트램은 도시철도의 장점인 친환경성과 버스의 장점인 접근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기존 도로를 활용하므로 건설비·운영비가 도시철도나 경전철 대비 30~50% 수준이면 된다. 여기에 유럽이나 홍콩에서처럼 도심을 누비는 트램은 관광자원 역할도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농성광장과 광천사거리는 하루 교통량이 각각 14만대·12만대에 이를 정도로 대표적인 혼잡 구간이다. 이런 도로에 트램을 설치하면 최소 2차로 이상을 차지해 교통대란이 불가피하다. 트램 건설비도 2020년 기준 ㎞당 300억 원대에서 현재는 500억 원대로 갈수록 치솟는 추세다. 이 때문에 대구시는 트램 대신 모노레일로 바꿨고, 부산시과 대전시도 재검토에 들어갔다고 한다.

광주시도 시장의 공약이라고 하여 밀어붙일 게 아니라 장단점과 타당성을 면밀히 따져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공론화 과정을 통해 시민 의견도 적극 반영해야 할 것이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