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도 내는 전방 부지 개발 공공성 강화해야
2022년 08월 24일(수) 00:05
전방·일신방직 공장 부지 개발의 최대 걸림돌이었던 요양병원 철거 작업이 시작되면서 사업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개발 업체는 다음 달 광주시에 세부 개발 계획안을 제출한다는 계획이어서 핵심 쟁점인 아파트 개발 규모와 공공성 확보가 어느 정도 선에서 조정될지 주목된다.

광주시 북구 임동에 위치한 전방·일신방직은 지난 2000년 7월 30만여㎡의 공장 부지를 부동산 개발 회사인 MBN프라퍼티·휴먼스홀딩스에 6850억 원에 매각하기로 계약했다. 양측은 당시 10%의 계약금을 지급하고 잔금은 전남방직 내에서 영업 중인 요양병원 등 시설물의 명도 절차가 완료된 후 완납하기로 합의했다. 하지만 요양병원 측이 건물을 비워주지 않자 전남방직은 법원에 명도 소송을 제기, 지난해 4월 승소한 후 최근까지 네 차례에 걸쳐 강제 집행을 마무리했다. 이에 따라 사업자 측은 추석을 전후해 광주시에 세부 계획안을 제출하고 토지 잔금도 조만간 치를 계획이다.

이와 관련 광주시는 ‘도시계획 변경 사전 협상’의 조건으로 공장 부지 내 해방 이전 시설물 원형 보존 및 역사문화 공원 조성, 신구 도심 균형 발전을 위한 대형 유통센터·특급 호텔 조성, 개발 이익의 사회적 공유 방안 등을 요구해 왔다. 개발 업체는 세부 계획안에 이런 내용을 상당 부분 담은 것으로 전해졌다.

남은 쟁점은 아파트 개발 규모이다. 개발 업체는 4500세대 이상은 돼야 사업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입장이지만, 광주시 내부에선 상업·업무·문화 시설이 조화된 융복합 개발이 이뤄지려면 3000세대 정도가 적합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전방·일신방직 부지는 일제 수탈의 아픔과 산업화 시기 여공들의 애환이 서린 근대 산업문화 유산으로 그동안 개발이 이뤄지지 않아 구도심에서 가장 낙후한 지역으로 꼽힌다. 그런 만큼 개발에 따른 혜택과 이익을 지역 주민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아파트 개발은 최소화하고 공공성은 강화해야 할 것이다.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