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흥 우주산업 클러스터 기능 축소 안 된다
2022년 08월 22일(월) 00:05 가가
우주산업 클러스터(특화 지구) 육성에 관한 정부 방침이 한 달여 만에 바뀔 가능성이 커졌다. 당초 전남 고흥과 경남 사천 두 곳이 지정 대상이었는데 윤석열 대통령이 대전을 또 다른 축으로 제시했기 때문이다. 대전이 추가될 경우 고흥은 자칫 연구·인재 개발 분야의 기능이 축소되지 않을까 우려되고 있다.
윤 대통령은 엊그제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우주산업 육성과 관련해 “대전의 연구·인재 개발, 전남의 발사체 산업, 경남의 위성 산업 등 삼각 체제를 제대로 구축하고 NASA(미국 항공우주국)를 모델로 한 우주항공청을 설립해서 정책적으로 뒷받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앞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달 7일 제42회 우주개발진흥 실무위원회에서 관련 시설·장비 등 인프라가 이미 구축된 지역을 우선 검토하고, 선택과 집중을 위해 발사체와 위성 특화 지구별로 한 개씩을 우주산업 클러스터로 지정하겠다는 원칙을 제시했다. 이는 나로우주센터가 있는 고흥과 한국항공우주산업이 위치한 사천을 감안한 결정으로 받아들여졌다.
하지만 윤 대통령의 발언으로 다음 달로 예정된 우주산업 클러스터 최종 선정의 원칙이 바뀌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이에 전남도는 바짝 긴장하는 분위기다. 대전을 중심으로 연구·인재 개발 클러스터가 추가 지정될 경우, 고흥 발사체 클러스터의 전문 인력 양성이나 연구 개발 기능이 위축되거나 제한될지 모른다는 우려 때문이다.
고흥 나로우주센터는 지난 6월 순수 국내 기술로 제작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발사를 성공시키는 등 세계 7대 우주강국 도약에 핵심 역할을 해 왔다. 하지만 민간 중심의 우주산업 육성을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기술 개발과 시험·평가·발사는 물론 전문 인력 양성까지 현장 중심으로 이뤄지는 원스톱 체제가 필요하다. 정부는 클러스터 지정 과정에서 고흥의 연구·인재 개발 기능이 축소되지 않도록 선택과 집중 기조를 유지해야 할 것이다.
이에 앞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달 7일 제42회 우주개발진흥 실무위원회에서 관련 시설·장비 등 인프라가 이미 구축된 지역을 우선 검토하고, 선택과 집중을 위해 발사체와 위성 특화 지구별로 한 개씩을 우주산업 클러스터로 지정하겠다는 원칙을 제시했다. 이는 나로우주센터가 있는 고흥과 한국항공우주산업이 위치한 사천을 감안한 결정으로 받아들여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