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광 한빛원전 4호기 땜질식 보수 우려된다
2022년 08월 12일(금) 00:05 가가
부실시공이 드러난 영광 한빛원전 4호기에 대한 ‘땜질식 보수’의 위험성을 지적하는 지역민들의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에 따르면 지난 7월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로부터 영광 한빛원전 4호기에 대한 보수계획 승인을 받고 조만간 공극(콘크리트 빈 구멍) 등을 보수하는 작업에 돌입할 예정이다. 이르면 오는 11월께 한빛원전 4호기에 대한 보수공사를 마치고 재가동에 돌입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빛원전 4호기는 격납건물 부실시공 문제가 드러나 2017년부터 현재까지 5년째 가동되지 않고 있다. 확인된 공극만 140개였으며, 최대 깊이 157㎝에 달하는 것도 발견됐다.
광주환경운동연합 등 탈핵단체와 주민들은 부실 원인조사 등이 생략된 보수공사에 대해 반발하고 있다. 탈핵 단체들은 “원안위가 공극 원인만 조사한 것은 부실공사를 눈감아주기 위한 수단에 불과하다”며 “부실공사에 대한 전반적인 조사를 시행한 뒤 보수에 들어가야 한다”고 촉구했다. 반면, 한수원 관계자는 “규제기관 승인을 받아 이뤄지는 보수작업”이라는 주장을 펴고 있어 원전 안전에 대한 국민 불신을 증폭하고 있는 상황이다.
원전 문제는 치명적 재앙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아무리 작더라도 예사롭게 볼 사안이 아니다. 이미 체르노빌 원전사고나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사고에서 경험한 바 있다. 더구나 한빛원전 4호기는 부실 시공이 확인된 원전시설이다. 철저한 정밀진단과 총체적 점검없이 응급처방식 보수공사만 이뤄지면 큰 화를 부르게 될 것이 자명하다. 한수원과 원안위는 한빛원전 4호기를 보수하는 데만 급급할 것이 아니라 차제에 원전에 대한 국민신뢰를 회복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원자력 당국은 한빛원전 4호기에 대한 철저한 원인조사와 진단을 통해 부실시공 방지는 물론 원자력 안전망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에 따르면 지난 7월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로부터 영광 한빛원전 4호기에 대한 보수계획 승인을 받고 조만간 공극(콘크리트 빈 구멍) 등을 보수하는 작업에 돌입할 예정이다. 이르면 오는 11월께 한빛원전 4호기에 대한 보수공사를 마치고 재가동에 돌입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빛원전 4호기는 격납건물 부실시공 문제가 드러나 2017년부터 현재까지 5년째 가동되지 않고 있다. 확인된 공극만 140개였으며, 최대 깊이 157㎝에 달하는 것도 발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