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가계 위협하는 지역물가 방치할건가
2022년 08월 10일(수) 00:05
추석 명절이 한달 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성수품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밥상물가에 비상이 걸렸다. 특히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광주·전남 지역 물가가 각각 4.9%, 5.5%로 인상되는 등 물가 상승률이 국제금융 외환위기수준까지 치솟을 것으로 보여 가계의 주름살이 깊어지고 있다.

8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올해 1~7월 누계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광주는 4.9%, 전남은 5.5% 올랐다. 전국 평균 상승률은 4.9%로 집계됐다. 물가 누계 상승률은 전 세계 금융위기가 닥쳤던 지난 2008년 연간 수준(광주 4.7%·전남 4.8%)을 이미 뛰어넘은 상태다.

문제는 추석을 한 달 남긴 상황에서 이같은 가파른 물가상승률이 제수용품 등 식품 물가인상에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달 호남지방통계청이 조사한 농축수산물 78개 품목 가운데 57개가 전년보다 가격이 올랐다. 특히 이 가운데 광주 37개 품목과 전남의 34개 품목은 ‘두 자릿수’ 상승률을 보였다. 지난달 광주에서 가장 많이 오른 농축수산물은 체리(75.8%)와 오이(72.4%), 호박(69.6%), 배추(65.4%) 등이었다. 또한 국제 원재료 가격 상승으로 인해 식용유(광주 58.2%·전남 47.4%)와 밀가루(광주 40.4%·전남 42.5%), 설탕(광주 20.3%·전남 19.2%) 등 주요 가공식품값도 뛰어올라 가계의 부담이 커진 상태다.

물가상승은 소비와 투자를 위축시켜 경기침체를 유발하고 실소득을 줄이는 주범이다. 특히 국민이 체감하는 장바구니 물가는 통계수치 보다 더 위협적인 만큼 국제원자료 상승 등 대외여건 탓으로 방치하면 안된다. 따라서 일회성 보여주기식 대책이 아니라 생필품 수급관리와 제수용품 직거래 확대 등 예년 보다 빠른 지역물가관리에 총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