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대 이사회·학교 충돌…지금 이럴 때인가
2022년 08월 05일(금) 00:05 가가
조선대 이사회의 민영돈 총장에 대한 징계 의결을 둘러싸고 이사회와 학교 측이 정면충돌하면서 대학 안팎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양 측의 갈등은 일부 교수들의 일탈로 촉발됐다. 공과대학 A교수는 6학기 동안 특별한 사유 없이 수업을 수시로 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교원인사위원회를 거쳐 이사회 징계위원회에 회부돼 징계를 앞두고 있다. 또 미래사회융합대학 B교수는 지난해 국책 사업인 ‘평생교육체제 지원’과 관련한 중간평가 보고서 제출 시한을 나흘 앞두고 교수들의 항의성 보직 사표를 주도했다는 사유로 징계위에서 해임이 결정됐다.
이사회는 두 교수에 대한 징계 과정에서 해당 단과대학장 등의 감독 책임 등을 들어 민 총장에게 징계를 요청하라고 요구했다. 사립학교법상 징계 상신 등 교원 임용 제청권은 총장에게 있기 때문이다. 이에 학교 측은 교원인사위원회를 열어 단과대학장 등에 대한 징계 여부를 논의했으나 징계 대상이 되지 않는다고 결론을 내렸다.
그러자 이사회는 민 총장에게 단과대학장 등의 징계안을 이사회에 올리라고 지시했고, 민 총장은 교원인사위원회 권한 침해라며 이를 따르지 않았다. 이에 이사회는 사립학교법 위반이라며 지난달 27일 민 총장에 대한 징계를 의결했다. 그 와중에 기획조정실장·입학처장 등 여섯 명이 총장에게 보직 사퇴서를 제출하면서 대학은 혼란에 빠져들고 있다.
한국 최초의 민립 대학이자 호남 최대 사학인 조선대는 1988년 이후 극심한 학내 분규로 임시이사·정이사 체제를 오가다 2년 전에야 정상화됐다. 그런데도 최근 교수들이 채용 및 입시 비리 의혹으로 경찰의 조사를 받는 등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더욱이 학령인구 감소로 지방대학들은 고사 직전의 위기에 내몰리고 있다. 내년도 수시 모집이 한 달여 밖에 남지 않은 시점에서 대학 운영의 쌍두마차가 격돌하는 것은 이미지만 훼손할 뿐이다. 따라서 이사회와 총장은 허심탄회한 소통으로 해법을 적극 모색해야 할 것이다.
더욱이 학령인구 감소로 지방대학들은 고사 직전의 위기에 내몰리고 있다. 내년도 수시 모집이 한 달여 밖에 남지 않은 시점에서 대학 운영의 쌍두마차가 격돌하는 것은 이미지만 훼손할 뿐이다. 따라서 이사회와 총장은 허심탄회한 소통으로 해법을 적극 모색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