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오른 반도체 대전…유치 전략 더 치밀하게
2022년 08월 04일(목) 00:05
윤석열 정부의 역점 사업인 반도체산업을 유치하기 위한 전국 자치단체들의 경쟁이 후끈 달아오르고 있다. 국민의힘이 ‘반도체산업 경쟁력 강화 법안’을 발의하는 등 당정이 관련 정책 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기 때문이다.

해당 법안은 국가첨단전략산업위원회가 전략산업 특화 단지의 조성 단계부터 지원해 신속한 특화단지 조성·지정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또 인허가 신속 처리 기한을 현행 30일에서 15일로 단축하고, 시설투자 세액공제 비율을 최대 30%까지 확대하는 내용도 담겼다. 특히 원활한 인력 수급을 위해 산업 수요 맞춤형 고등학교를 추가하고, 대학 반도체 관련 학과 정원도 늘릴 수 있도록 했다.

이에 따라 광주시와 전남도는 민선 8기 상생 발전 기조에 맞춰 광주와 장성 인접 지역에 1000만㎡ 규모의 ‘반도체 특화단지’를 공동 조성하는 데 힘을 모으고 있다. 한국에너지공대 및 광주의 인공지능 산업과 연계해 부가가치가 높은 반도체 기업을 유치함으로써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다른 시도들도 반도체산업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어 상황은 녹록지 않다. 인천은 그동안 유치한 소재·부품·장비 기업 1600개를 기반으로 반도체산업 육성에 나섰고, 대전은 ‘나노·반도체산업 육성 비전’을 선포했다. 대구·경북은 구미를, 강원은 원주를 각각 반도체 클러스터로 육성할 계획이다.

특히 광주·전남은 미래 첨단산업을 담당하는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에 지역 국회의원이 단 한 명도 없고, 반도체 기업 투자 유치 성과가 전무한 것이 취약점이다. 따라서 시도는 정치권은 물론 산학연과 유기적인 공조로 관련 기업 유치와 인재 양성을 위한 보다 치밀한 전략과 비전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정부도 수도권 중심의 반도체 인프라 확대 및 인력 양성에 대한 지역의 우려가 큰 만큼 균형 발전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정책을 펼쳐야 할 것이다.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