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더기 공천 - 임동욱 이사 겸 선임기자
2022년 05월 10일(화) 00:30 가가
6·1 지방선거를 앞두고 더불어민주당의 광주·전남 지역 공천이 마무리 수순에 접어들고 있다. 하지만 민주당 공천을 바라보는 지역 민심은 부글부글 끓고 있다. 그렇지 않아도 코로나19 여파 등으로 민생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지역의 미래를 이끌 후보 공천을 둘러싸고 온갖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공천 결과에 대한 깨끗한 승복보다는 강한 반발과 재심 신청은 물론 무소속 출마도 줄을 잇고 있다. 풀뿌리 민주주의의 축제가 돼야 할 지방선거가 불공정하고 혼탁한 경쟁의 대표적 사례가 되고 있는 셈이다.
그 원인으로는 불투명한 공천 관리가 꼽히고 있다. 좀 더 들여다보면 지역 국회의원들의 정치적 입김이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차기 총선을 염두에 두고 자기 사람 심기에 나서면서 경선의 공정성이 훼손된 것이다. 특히 전남 기초단체장 후보 경선은 고무줄 공천 잣대로 ‘요지경’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유권자들의 관심이 덜한 광역·기초의원 공천은 폐해가 더 심한 상황이다. 외부 인사들이 참여한 공직후보자 추천관리위원회조차 지역 국회의원들의 정치적 들러리가 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지역 국회의원들은 ‘누더기 공천’ 비판에 개의치 않는 모습이다. 계산은 간단하다. 비판 여론은 잠시에 불과하고 풀뿌리 조직을 챙기는 것이 남는 장사라는 것이다. 민주당 지도부도 크게 다르지 않다. 대선 패배 이후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혁신 공천’을 약속했지만 현실은 역대급 ‘공천 참사’에 가까운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지역의 현실도 들여다보지 못하는 민주당이 과연 윤석열 정부를 제대로 견제·비판할 수 있는 자격과 역량이 있는지 의심스럽다는 지적까지 나온다.
퇴행은 바로잡지 않으면 반복된다. 경쟁과 견제가 없는 민주당 독점 구도에선 더욱 그렇다. 결국, 깨어있는 시민 의식으로 적극적인 투표에 나서는 것이 답이다. 반칙으로 공천 티켓을 얻은 후보와 이를 설계한 지역 국회의원들에 대해서는 엄중한 심판을 내려야 한다. 강고한 연대를 통해 민심의 힘을 보여줘야 한다. 그래야 지역의 미래가 바로 선다.
/임동욱 이사 겸 선임기자 tuim@kwangju.co.kr
/임동욱 이사 겸 선임기자 tui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