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감소 전남…청년정책으로 ‘극복’
2020년 12월 22일(화) 22:50 가가
해남·영광·광양, 저출생 대책 ‘우수’ 지자체 선정
청년협의체 운영…육아나눔터 등 출산지원책 시행
청년협의체 운영…육아나눔터 등 출산지원책 시행
전남의 가장 큰 위기는 인구감소 문제다. 전남 인구는 2004년 200만명 붕괴에 이어 2017년 3월 190만 선이 무너졌다. 그로부터 2년8개월만인 올해 11월 185만557명으로 185만 붕괴에 직면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전남도와 22개 기초자치단체는 저출생 및 인구감소 문제 극복을 힘을 쏟고 있다.
최근 전남도 출생장려 시책 우수 시군 평가에서 해남군이 1위를 차지, 대상을 수상했다. 영광군과 영광 죽신마을은 최우수 지자체 및 마을로 선정했다. 광양시도 최우수 지자체로 뽑혔다.
◇해남군, 저출생 대책 평가 ‘1위’
해남군은 2019년 조직개편을 통해 인구정책과를 신설해 청년, 결혼, 임신, 출산, 양육, 보육 정책을 연계한 정책 기반을 마련하고 민·관이 함께 극복하는 사회적 정책으로 추진하고 있다.
결혼·청년 정책으로는 청년정책협의체를 운영하고 있으며, 청년 오프라인 플랫폼 ‘청년카페’ 건립, 결혼장려금·전입 축하금 지원 등을 하고 있다.
분만·산후조리 원스톱 의료서비스, 임신부 영양지원,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본인부담금 90%지원, 난임부부 시술비 본인부담금 지원 등 다양한 임신·출산 사업도 전개했다.
양육·보육으로는 둘째 이상 출생아 기저귓값 지원, 셋째 애 이상 건강보험 가입 및 교복비·학자금 지원, 땅끝 가족어울림센터 건립 등을 추진했다.
명현관 해남군수는 “해남군의 앞서가는 저출생 대책이 대상 수상이라는 좋은 평가를 받게 됐다”며 “향후에도 임신·출산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고 출산 후 보육과 복지 등을 연계한 통합서비스 지원과 저출생 극복 시책을 지속 발굴하겠다”고 말했다.
◇영광군, 보리 특화 청년일자리 창출
영광군은 지난해 조직개편을 통해 전국 최초로 인구일자리정책실을 신설했다. 또 청년발전기금 100억원 조성, 인구정책 5개년 종합계획 수립, 저출산 극복 중장기계획 수립 및 관련 조례 제정 등 조직과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
전남지역 최고 수준의 결혼장려금, 신생아 양육비 등 다양한 출산 지원정책과 공동육아나눔터, 다함께 돌봄센터 등 결혼·출산·보육에 이르기까지 아이와 엄마 모두가 행복한 맞춤형 정책을 펴고 있다.
마을기업 부문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한 영광 죽신마을은 어르신과 귀촌청년간 협업으로 지역 특산품 보리를 활용한 마을 기업을 성공적으로 운영해 청년 일자리 창출과 어르신 생활개선에 기여한 점이 높이 평가됐다.
김준성 영광군수는 “인구감소로 지방소멸론이 제기되고 있는 심각한 인구 위기 상황”이라며 “인구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시책을 적극 발굴해 인구지키기에 군민 모두가 참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광양시,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인프라 구축
광양시는 ‘함께 키우는 행복 출산 광양’이라는 주제로 저출생이라는 범사회적인 문제를 시민들과 함께 해결하고자 임신·출산·양육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고 어린이보육재단 운영 등을 통해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인프라를 구축하는 등 저출생 대책 기반조성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광양시는 임신부에게 산전검진을 위한 교통비 10만원 지원, 모든 출산가정에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이용료의 90% 지원, 둘째아이 이상 가정에 다둥이 출산맘 행복쿠폰 광양사랑상품권 100만원 지급, 산후조리비용 지원 등의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박정욱 기자 jwpark@kwangju.co.kr
/박희석·이종윤·김대수 기자 dia@kwangju.co.kr
이 때문에 전남도와 22개 기초자치단체는 저출생 및 인구감소 문제 극복을 힘을 쏟고 있다.
◇해남군, 저출생 대책 평가 ‘1위’
해남군은 2019년 조직개편을 통해 인구정책과를 신설해 청년, 결혼, 임신, 출산, 양육, 보육 정책을 연계한 정책 기반을 마련하고 민·관이 함께 극복하는 사회적 정책으로 추진하고 있다.
결혼·청년 정책으로는 청년정책협의체를 운영하고 있으며, 청년 오프라인 플랫폼 ‘청년카페’ 건립, 결혼장려금·전입 축하금 지원 등을 하고 있다.
명현관 해남군수는 “해남군의 앞서가는 저출생 대책이 대상 수상이라는 좋은 평가를 받게 됐다”며 “향후에도 임신·출산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고 출산 후 보육과 복지 등을 연계한 통합서비스 지원과 저출생 극복 시책을 지속 발굴하겠다”고 말했다.
◇영광군, 보리 특화 청년일자리 창출
영광군은 지난해 조직개편을 통해 전국 최초로 인구일자리정책실을 신설했다. 또 청년발전기금 100억원 조성, 인구정책 5개년 종합계획 수립, 저출산 극복 중장기계획 수립 및 관련 조례 제정 등 조직과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
전남지역 최고 수준의 결혼장려금, 신생아 양육비 등 다양한 출산 지원정책과 공동육아나눔터, 다함께 돌봄센터 등 결혼·출산·보육에 이르기까지 아이와 엄마 모두가 행복한 맞춤형 정책을 펴고 있다.
마을기업 부문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한 영광 죽신마을은 어르신과 귀촌청년간 협업으로 지역 특산품 보리를 활용한 마을 기업을 성공적으로 운영해 청년 일자리 창출과 어르신 생활개선에 기여한 점이 높이 평가됐다.
김준성 영광군수는 “인구감소로 지방소멸론이 제기되고 있는 심각한 인구 위기 상황”이라며 “인구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시책을 적극 발굴해 인구지키기에 군민 모두가 참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광양시,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인프라 구축
광양시는 ‘함께 키우는 행복 출산 광양’이라는 주제로 저출생이라는 범사회적인 문제를 시민들과 함께 해결하고자 임신·출산·양육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고 어린이보육재단 운영 등을 통해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인프라를 구축하는 등 저출생 대책 기반조성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광양시는 임신부에게 산전검진을 위한 교통비 10만원 지원, 모든 출산가정에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이용료의 90% 지원, 둘째아이 이상 가정에 다둥이 출산맘 행복쿠폰 광양사랑상품권 100만원 지급, 산후조리비용 지원 등의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박정욱 기자 jwpark@kwangju.co.kr
/박희석·이종윤·김대수 기자 dia@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