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에서 살아보기 5~60일 간 숙박·농어촌체험교육비 지원
2020년 06월 22일(월) 00:00 가가
민선 7기 전남도 귀농산어촌 프로그램
도시민 귀농·귀촌 창업과정 교육도
도시민 귀농·귀촌 창업과정 교육도
민선 7기 전남도는 전남으로의 귀농산어촌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먼저 귀농산어촌종합지원센터, 귀어귀촌지원센터 등을 운영하면서 다양한 홍보·교육 프로그램을 실시 중이다. 전남에서 먼저 살아보기, 찾아가는 귀농·귀촌 박람회, 스몰귀어엑스포, 3박4일 어촌탐구생활, 어촌에서 한 달 살이, 귀농귀촌 창업 과정 교육 등이 대표적이다.
전남에서 먼저 살아보기는 전남 농어촌에 일정 기간 체류하며 귀농·귀어·귀촌을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도농 간 문화 차이를 좁히고 도시민이 농어촌으로 이주하며 겪는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 지난 2019년 전남도가 전국 처음으로 도입한 정책이다.
사업에 참여하면 최소 5일에서 최대 60일간 농산어촌에서 살 수 있다. 주민 교류와 어울림 행사, 문화 관광지 탐방, 전문가 만남, 마을 일손 돕기 등을 할 수 있다. 대상자로 선정되면 숙박, 농어촌체험 교육 프로그램 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고, 식비와 교통비 등 생활비는 자부담하면 된다. 전남도는 희망자 1000명까지 소화할 수 있는 예산(시군비 포함 7억원)을 올해 확보했다.
전남도는 안전 기준에 부합하는 장기 민박 시설을 갖추고 귀농어촌 교육, 현장 체험, 주민 교류 행사 등이 가능한 일반형 22개 마을과 특화형 4개 마을 등 모두 26개 마을을 선정했다. 전남에서 먼저 살아보기 홈페이지(live.jeonnam.go.kr)를 참고하면 된다. 은퇴자가 전남에 정착할 수 있도록 대학 평생교육원 등과 연계한 도시민 귀농·귀촌 창업과정 교육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귀어귀촌지원센터는 전남의 858개 어촌계 중 귀어에 적극적인 60여 개 어촌계를 관리하며, 귀어 희망 도시민들을 이들 어촌계와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전국 각 도시에서 설명회를 개최하고, 귀어 희망 도시민들의 자료를 축적하면서 3박4일 전남 어촌 탐구생활, 어촌 한 달 살이 등 직접 어촌을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추진중이다. 지난 2018년부터 개최하고 있는 ‘전남 귀어스몰엑스포’는 올해 코로나 19 사태로 인해 올 하반기 사이버 엑스포로 치를 예정이다.
귀농산어촌 관련 정부, 전남도, 전남 22개 시군의 지원책은 귀농산어촌 원스톱 종합지원센터인 ‘전남도 귀농산어촌 종합지원센터’(jnfarm.jeonnam.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전남도가 운영하는 이 사이트에는 귀농 준비 절차, 자가 진단, 정착금 지원, 주택 자금 지원, 농지·주택 구입 요령, 창업 절차 등 귀농산어촌에 관한 방대한 정보가 망라돼 있다. 전남도 농업기술원, 전남도 해양수산과학원, 시·군 농업기술센터를 찾으면 상담도 가능하다.
/김형호 기자 khh@kwangju.co.kr
사업에 참여하면 최소 5일에서 최대 60일간 농산어촌에서 살 수 있다. 주민 교류와 어울림 행사, 문화 관광지 탐방, 전문가 만남, 마을 일손 돕기 등을 할 수 있다. 대상자로 선정되면 숙박, 농어촌체험 교육 프로그램 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고, 식비와 교통비 등 생활비는 자부담하면 된다. 전남도는 희망자 1000명까지 소화할 수 있는 예산(시군비 포함 7억원)을 올해 확보했다.
귀농산어촌 관련 정부, 전남도, 전남 22개 시군의 지원책은 귀농산어촌 원스톱 종합지원센터인 ‘전남도 귀농산어촌 종합지원센터’(jnfarm.jeonnam.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전남도가 운영하는 이 사이트에는 귀농 준비 절차, 자가 진단, 정착금 지원, 주택 자금 지원, 농지·주택 구입 요령, 창업 절차 등 귀농산어촌에 관한 방대한 정보가 망라돼 있다. 전남도 농업기술원, 전남도 해양수산과학원, 시·군 농업기술센터를 찾으면 상담도 가능하다.
/김형호 기자 kh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