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국감현장] “세계적 공대” vs “졸속 공대”
2019년 10월 14일(월) 04:50 가가
산자위 국감서 한전공대 설립 공방
한국전력공사 국정감사에서 여야 의원들은 한전공대 설립을 놓고 치열한 설전을 벌였다. 김종갑 한전 사장과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협력하는 산학연 클러스터의 핵심시설로서 한전공대의 당위성을 강조하며 야권의 지원을 당부했다.
지난 11일 한전 나주 본사에서 열린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들은 질의가 시작되기 전부터 각자 찬반 논리를 보강할 자료 제출을 요청해 신경전을 벌였다.
김규환 자유한국당 의원은 나주지역 시민단체가 제작한 ‘한전공대! 국가발전 원동력’이라 적힌 인쇄물을 보이며 “국감장에 오다 보니 많은 사람이 들고 있던데 사장이 시킨 것이냐”고 김종갑 사장에게 묻자 김 사장은 곧바로 “아니다”고 답했다.
송갑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자유한국당의 집요한 훼방은 명백한 정치공세이자, 문재인 정부 핵심 국정과제에 대한 근거 없는 딴지”라며 “한전공대는 세계적인 에너지 공대로서 국가의 백년대계를 짊어질 대한민국 신산업 핵심축이 될 것”이라고 맞받았다. 같은 당 박범계 의원도 “지방분권, 균형발전 측면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광주와 호남 등 지역마다 ‘실리콘밸리’가 필요하다”며 “광주과기원에는 에너지 관련 학과가 없기에 한전공대는 더욱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국당 의원들은 본질의 뿐만 아니라 보충 질의에서도 한전공대 반대 공세를 이어갔다. 이종배 한국당 의원은 ‘졸속 한전공대’라고 지칭하고 “2022년 개교 목표라는데 문재인 정부 임기 중에 하려고 전체가 거기에 맞춰서 하고 있다”고 비판하고 ‘한전공대 5대 불가론’을 내세우며 “한전 사장은 도끼를 지니고 왕에게 올리는 지부상소(持斧上疏) 해야 한다”며 격앙된 모습을 보였다. 같은 당 김정재 의원은 “한전공대는 사립대학이니까 한전 돈으로 만들라”고 말했고 윤한홍 의원은 “국민이 내는 전기세에 포함된 전력 기금을 대학설립에 사용해서도 안 된다”고 강조했다.
김 사장은 야당 의원의 공세에 단호한 어조로 응수했다. 그는 “미국 코넬텍과 같이 본따려는 성공모델 대부분이 ‘작지만 강한 대학’이기에 학령인구 감소 문제와는 관계가 없다”며 “2030년에는 1조 정도 R&D(연구개발)가 필요한 이유에서 대학 투자는 손해가 될 수 없다”고 말했다.
“한전공대 설립은 공기업인 한전이 나서서 해야할 일 아니다”는 곽대훈 한국당 의원의 질의에는 “앞으로 특별법에 의한 국립대가 될 수 있도록 하겠다. 그를 위한 노력이 부족했다”고 맞대응했다.
이날 국감에선 한전과 그룹사의 저조한 지역인재 채용, 부진한 전선 지중화, 전기요금 인상 여부, 한전KDN의 친인척 일감 몰아주기, 한전 영취산 고압송전탑 건설 등 현안이 거론됐다./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
김규환 자유한국당 의원은 나주지역 시민단체가 제작한 ‘한전공대! 국가발전 원동력’이라 적힌 인쇄물을 보이며 “국감장에 오다 보니 많은 사람이 들고 있던데 사장이 시킨 것이냐”고 김종갑 사장에게 묻자 김 사장은 곧바로 “아니다”고 답했다.
김 사장은 야당 의원의 공세에 단호한 어조로 응수했다. 그는 “미국 코넬텍과 같이 본따려는 성공모델 대부분이 ‘작지만 강한 대학’이기에 학령인구 감소 문제와는 관계가 없다”며 “2030년에는 1조 정도 R&D(연구개발)가 필요한 이유에서 대학 투자는 손해가 될 수 없다”고 말했다.
“한전공대 설립은 공기업인 한전이 나서서 해야할 일 아니다”는 곽대훈 한국당 의원의 질의에는 “앞으로 특별법에 의한 국립대가 될 수 있도록 하겠다. 그를 위한 노력이 부족했다”고 맞대응했다.
이날 국감에선 한전과 그룹사의 저조한 지역인재 채용, 부진한 전선 지중화, 전기요금 인상 여부, 한전KDN의 친인척 일감 몰아주기, 한전 영취산 고압송전탑 건설 등 현안이 거론됐다./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