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소비쿠폰 덕 봤다…9월 카드지출 증가율 전국 최고
2025년 11월 06일(목) 09:45 가가
전달보다 12.4% 늘어난 4조9604억원
전남 건당 사용액 6만3100원, 전국 최고
광주 ‘전문직’·전남 ‘병의원’ 증가 돋보여
전남 건당 사용액 6만3100원, 전국 최고
광주 ‘전문직’·전남 ‘병의원’ 증가 돋보여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이 시작된 지난 9월 광주·전남 카드 사용액은 4조9604억원으로, 전달(4조4117억원)보다 12.4% 늘며 전국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다. ⓒPixabay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2차 지급을 통해 본격적인 소비 진작 대책이 시행된 지난 9월 광주·전남 카드 사용액이 한 달 새 전국에서 가장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국세청 ‘신용카드·직불카드 사용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9월 한 달간 광주·전남 사용액은 4조9604억원으로, 전달(4조4117억원)보다 12.4%(5487억원) 늘었다.
전국 카드 사용액은 108조원에서 114조원으로 5.7% 증가했다. 전남 증가율은 16.3%(2조772억→3조2247억원)로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높았다. 광주 사용액은 1조6395억원에서 1조7358억원으로, 5.9% 늘었다.
카드 사용 건수를 보면 광주는 한 달 새 건수가 19만건(4757→4776건) 늘었지만, 전남은 138만건(5247만→5109건) 줄었다.
전남 지역민들의 건당 평균 사용액이 늘었다고 볼 수 있는데, 8월 5만2800원에서 9월 6만3100원으로 1만원(19.5%) 넘게 증가했다. 전남 건당 평균 사용액은 전국(3만9400원)의 1.6배에 달했고, 17개 시·도 중에서 가장 많았다.
전남지역 카드 사용액이 눈에 띄게 늘어난 건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가 농어촌 하나로마트와 로컬푸드 직매장으로 확대 지정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전남에서 소비쿠폰을 쓸 수 있는 하나로마트는 기존 14곳에서 141곳으로, 로컬푸드 직매장은 기존 3곳에서 37곳 등 총 178곳으로 늘었다.
지역민들의 지출이 늘어난 업종(기타 제외)을 보면 광주에서는 전문직, 전남에서는 병·의원 업종이 두드러졌다.
광주지역 업종별 사용액 증가율은 변호사업 등 전문직이 9.1%로 가장 높았고, 숙박 7.5%, 소매 6.5%, 병·의원 2.4%, 서비스 0.4%, 기타 15.9% 등이 뒤를 이었다. 음식 업종은 전달보다 사용액이 5.1% 줄고, 학원 업종도 4.5% 감소했다. 9월 광주 카드 사용액 가운데 소매 업종이 31%(5383억원) 비중을 차지했고, 음식 18%, 병·의원 10.1%, 서비스 4.7%, 학원 2.9%, 숙박 0.5%, 기타 32.7% 등을 나타냈다.
전남에서는 병·의원 사용액 증가율이 3.9%(1234억→1282억원)로 높았고, 숙박 업종 감소율이 29.6%(269억→189억원)로 가장 컸다. 전남에서도 소매 업종 카드 사용액이 19.3%를 차지하며 가장 큰 비중을 보였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소비 활성화와 소상공인·자영업자의 매출 확대를 위해 마련됐으며 지난 7월21일부터 지난달 31일까지 두 차례에 걸쳐 전 국민에게 지급됐다. 카드 형태 소비쿠폰은 연 매출액 30억원 이하 매장에서 쓸 수 있도록 했으며, 오는 30일까지 사용 기한을 뒀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
6일 국세청 ‘신용카드·직불카드 사용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9월 한 달간 광주·전남 사용액은 4조9604억원으로, 전달(4조4117억원)보다 12.4%(5487억원) 늘었다.
카드 사용 건수를 보면 광주는 한 달 새 건수가 19만건(4757→4776건) 늘었지만, 전남은 138만건(5247만→5109건) 줄었다.
전남 지역민들의 건당 평균 사용액이 늘었다고 볼 수 있는데, 8월 5만2800원에서 9월 6만3100원으로 1만원(19.5%) 넘게 증가했다. 전남 건당 평균 사용액은 전국(3만9400원)의 1.6배에 달했고, 17개 시·도 중에서 가장 많았다.
광주지역 업종별 사용액 증가율은 변호사업 등 전문직이 9.1%로 가장 높았고, 숙박 7.5%, 소매 6.5%, 병·의원 2.4%, 서비스 0.4%, 기타 15.9% 등이 뒤를 이었다. 음식 업종은 전달보다 사용액이 5.1% 줄고, 학원 업종도 4.5% 감소했다. 9월 광주 카드 사용액 가운데 소매 업종이 31%(5383억원) 비중을 차지했고, 음식 18%, 병·의원 10.1%, 서비스 4.7%, 학원 2.9%, 숙박 0.5%, 기타 32.7% 등을 나타냈다.
전남에서는 병·의원 사용액 증가율이 3.9%(1234억→1282억원)로 높았고, 숙박 업종 감소율이 29.6%(269억→189억원)로 가장 컸다. 전남에서도 소매 업종 카드 사용액이 19.3%를 차지하며 가장 큰 비중을 보였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소비 활성화와 소상공인·자영업자의 매출 확대를 위해 마련됐으며 지난 7월21일부터 지난달 31일까지 두 차례에 걸쳐 전 국민에게 지급됐다. 카드 형태 소비쿠폰은 연 매출액 30억원 이하 매장에서 쓸 수 있도록 했으며, 오는 30일까지 사용 기한을 뒀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