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시군 인구정책 맞춤형 모델로 대응해야
2025년 08월 28일(목) 00:00 가가
전남연구원이 전남지역 22개 시군별로 맞춤형 인구정책 모델을 제시했다. 전남도의회의 연구 용역을 받아 내놓은 보고서를 통해서인데 인구 규모에 따라 각기 다른 방식으로 인구정책을 펴야한다는 제안이라는 점에서 유용하게 참고할 만 하다.
전남연구원은 전남 22개 시군을 시 지역과 인구 5만 이상 군, 인구 5만 미만 군 등 3개 그룹으로 나눠 인구 구조와 경제·주거 여건을 분석해 맞춤형 모델을 제시했다.
가장 열악한 인구 5만 미만 군에는 주민등록상 인구보다 ‘관계·생활인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정주인구 유입이 힘든 만큼 농촌유학 교류 캠프 등으로 도시 학생들을 유치하고 강진군처럼 여행 경비의 절반을 지원하는 ‘누구나 반값 여행’ 프로젝트가 생활인구를 잘 활용한 사례로 꼽힌다.
인구 5만 이상 군은 에너지 자립형 농업과 귀농·귀촌 수요를 감안해 이들의 정착을 돕는 주거 지원과 함께 신중년들을 위한 인턴십 사업을 고려할만 하다고 제안했다. 시 지역은 청년이 정착하는 데 인구정책의 초점을 맞출 것을 권했다. 이들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청년·신혼부부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줄 ‘만원주택’과 같은 정책을 확대하고 산학협력 취업패키지를 통해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할 것을 제안했다.
현재 전남의 인구는 178만명으로 9년만에 6.3%나 줄어들 정도로 심각하다. 인구소멸 대응이 전남 지자체 모두의 가장 큰 고민이지만 각자의 상황에 맞게 정책을 마련해 실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남연구원의 시군별 맞춤형 모델이 인구 정책에 참고 자료가 됐으면 한다.
가장 열악한 인구 5만 미만 군에는 주민등록상 인구보다 ‘관계·생활인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정주인구 유입이 힘든 만큼 농촌유학 교류 캠프 등으로 도시 학생들을 유치하고 강진군처럼 여행 경비의 절반을 지원하는 ‘누구나 반값 여행’ 프로젝트가 생활인구를 잘 활용한 사례로 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