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호남발전특위 가동…숙원사업 해결 기대
2025년 08월 25일(월) 00:00 가가
더불어민주당 직속 호남발전특별위원회가 본격 활동에 들어가면서 지역 숙원사업 해결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지난 21일 출범한 호남발전특위는 11월까지 호남발전 방안을 마련해 정청래 당 대표에게 보고할 예정인데 민주당은 이 안을 정부와 대통령실에 전달해 당장 내년 정부 예산안에 반영한다는 계획이다.
특위는 위원장 등 지도부를 인선한 데 이어 광주·전남·전북에서 활동하는 정치인과 지자체장, 현장 전문가 등 45명 내외로 위원을 선발한 뒤 신산업·경제 등 6개 분과위를 구성해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한다. 우선은 이재명 정부의 123대 국정과제 가운데 호남과 관련한 과제들의 실천 방안을 제시하는 데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광주의 인공지능(AI), 전남의 RE100 산단과 공공의대, 광주 군공항 이전 등 지역의 현안이자 숙원 사업이 포함될 것이다.
호남발전특위는 민주당이 텃밭인 호남을 배려해 만들었다. 정책 실현 과정에서 ‘당·정·대’인 여당과 정부 부처, 대통령실이라는 3각 주체의 공조가 중요한데 호남특위가 이런 공조를 더욱 공고하게 하는 계기가 될 것이란 기대감을 갖게 한다.
기대 못지 않게 우려의 시선도 있다. 특위가 제대로 된 제안을 하지 못하면 기회를 줬는데도 찾아먹지 못한다는 명분을 제공할 수 있다는 우려다. 광주시와 전남도 등 지자체별로 현안 사업의 실현을 위해 노력하는 상황에서 자칫 옥상옥 기구로 성과 없이 끝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광주시와 전남도 등 지자체와 공조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민주화에 기여한 호남에 답하기 위해 특위를 만들었다”는 정청래 대표의 말이 ‘기회를 줬다는 명분 제공’에 그치지 않도록 지역 정치권과 자치단체, 시민사회가 역량을 모아 성과를 내야 할 것이다.
지난 21일 출범한 호남발전특위는 11월까지 호남발전 방안을 마련해 정청래 당 대표에게 보고할 예정인데 민주당은 이 안을 정부와 대통령실에 전달해 당장 내년 정부 예산안에 반영한다는 계획이다.
따라서 광주시와 전남도 등 지자체와 공조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민주화에 기여한 호남에 답하기 위해 특위를 만들었다”는 정청래 대표의 말이 ‘기회를 줬다는 명분 제공’에 그치지 않도록 지역 정치권과 자치단체, 시민사회가 역량을 모아 성과를 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