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대책 노쇼 처벌 강화로 발본색원 하길
2025년 05월 23일(금) 00:00
음식이나 물품 구매를 요청했다가 나타나지 않는 노쇼 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최근에는 대통령선거와 금호타이어 화재 등 이슈를 이용한 노쇼 사기까지 등장해 영세 자영업자가 막대한 피해를 입는 일도 발생했다.

광주 광산구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A씨는 지난 17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캠프를 사칭한 사기범에게 고급 양주 대리 결제로 2400만원의 피해를 입었다. 사기범은 캠프 관계자들과 단체로 저녁식사를 하러 가겠다며 예약전화를 걸었는데 이날은 이 후보의 광주 일정이 있어 피해자가 쉽게 속았다.

18일에는 금호타이어 화재 현장을 사칭한 사람이 남구의 한 식당에 전화를 걸어 “포장해 가겠다”며 김치찜 15인분을 주문한뒤 나타나지 않다가 다시 전화를 걸어 방역복을 대신 구매해달라고 요청했으나 미수에 그쳤다.

광주·전남에선 올들어 노쇼 사기가 급증하면서 경찰이 지난달 25일 노쇼 특별경보를 발령했지만 오히려 범죄가 더 늘고 있다. 광주의 경우 경보 발령 전인 4월 20일까지 31건이 발생한데 반해 발령 이후 한 달도 안돼 46건의 피해가 발생했다.

노쇼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자영업자들이 신원 확인을 철저하게 하거나 일정 규모 이상일 경우 예약금을 받는 등 자구책을 마련해야 하지만 영세한데다 불경기속에 조금이라도 매출을 올리려는 욕심에 대처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경찰 등 관계기관의 보다 적극적인 예방책과 대처가 중요한데도 자영업자들에게 조심할 것만 당부하고 사실상 손을 놓고 있다.

사법기관은 노쇼를 심각한 범죄로 인식하고 강력한 수사와 처벌을 해야 한다. 상습범의 경우 가중처벌도 고려해야 한다. 노쇼는 영세 자영업자를 울리는 심각한 범죄인 만큼 의지를 가지고 반드시 발본색원 하길 바란다.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