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여수석유화학 고용위기 극복 총력…협의체 발족
2025년 04월 09일(수) 19:55 가가
노·사·민·정 전문가 참여…소비 감소·상권 위축 등 해결 방안 마련
플랜트산업 종사자 1만5000명→2000명…고용위기지역 지정 추진
플랜트산업 종사자 1만5000명→2000명…고용위기지역 지정 추진
전남도가 여수 국가산업단지 내 고용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협의체를 발족했다.
전남산업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여수 석유화학산업이 글로벌 공급 및 경쟁력 약화로 위기를 맞으면서 고용까지 위축되고 있기 때문이다.
9일 전남도에 따르면 석유화학 대기업의 부진으로 하도급업체인 여수지역 플랜트 업체들의 불황도 깊어지고 있다. 한 때 1만5000여명 수준이던 여수지역 플랜트산업도 종사자가 최근 2000여명 수준으로 급감했다.
플랜트기업들의 밥줄은 크게 석유화학 공장 설비를 일정기간 경과시 보수하는 ‘대정비’와 신증설 공사로 구분된다.
하지만, 가동을 중단한 공장이 늘어나면서 대정비 일감이 많이 줄었고, 신증설 공사는 찾아보기 힘들기 때문이다. 장치산업 특성상 설비 유지보수에 의존적인 플랜트산업의 특성이 고스란히 드러나고 있다.
석유화학산업은 원료가 되는 원유가격이 크게 오른데다 수익성이 악화돼 위기를 맞았다. 기업들의 누적 영업손실만 천문학적인 금액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전남도는 지난 8일 여수혁신지원센터에서 전남도의회, 여수고용노동지청, 여수시 등과 산업계, 노동계, 지원기관,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 위기 극복방안을 논의했다.
협의체에는 여수산단건설협의회, 여수상공회의소, 여수산단 공동발전협의회 등 사업자측과 한국노총여수지역지부, 민주노총 여수시지부, 전국플랜트건설노조지부 등 노동자 단체도 참여했다. 또 여수시 노사민정협의회, 한국산업단지공단 전남본부, 전남테크노파크, 전남도의원 등 각계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협의체는 여수산단 플랜트 산업의 축소로가 지역 주민의 소비 감소 및 지역상권 위축으로까지 이어져 지역경제 침체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들은 위기극복 방법으로 이달 중 정부에 ‘고용위기지역’ 지정을 신청하는 등 공동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고용위기지역으로 지정되면 사업주에게 휴직 수당 90%와 직업훈련비를 추가 지원해주고 고용 보험료 등 납부 기간을 연장해준다. 근로자는 생활안정자금 상환기간 연장과 한도액 인상 등 혜택과 직업 훈련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 협의체는 여수산단만의 특수성이 포함된 고용위기지역 지정 신청안을 마련해 고용노동부에 제출한다는 계획이다.
또 고용노동부의 현지실사에 대비해 기관별 역할, 대응요령, 분야별 객관적 자료 등도 준비할 계획이다.
협의체 고문역을 맡게 된 전남도의회 이광일(민주·여수1) 부의장과 주종섭(민주·여수6) 도의원은 “고용유지가 불안한 중소플랜트 업체 노동자의 고용이 지속되도록 정부 지원사업에 노동계 의견이 충분히 반영되도록 노력해 달라”고 요청했다.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
전남산업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여수 석유화학산업이 글로벌 공급 및 경쟁력 약화로 위기를 맞으면서 고용까지 위축되고 있기 때문이다.
플랜트기업들의 밥줄은 크게 석유화학 공장 설비를 일정기간 경과시 보수하는 ‘대정비’와 신증설 공사로 구분된다.
하지만, 가동을 중단한 공장이 늘어나면서 대정비 일감이 많이 줄었고, 신증설 공사는 찾아보기 힘들기 때문이다. 장치산업 특성상 설비 유지보수에 의존적인 플랜트산업의 특성이 고스란히 드러나고 있다.
이에 전남도는 지난 8일 여수혁신지원센터에서 전남도의회, 여수고용노동지청, 여수시 등과 산업계, 노동계, 지원기관,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 위기 극복방안을 논의했다.
협의체는 여수산단 플랜트 산업의 축소로가 지역 주민의 소비 감소 및 지역상권 위축으로까지 이어져 지역경제 침체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들은 위기극복 방법으로 이달 중 정부에 ‘고용위기지역’ 지정을 신청하는 등 공동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고용위기지역으로 지정되면 사업주에게 휴직 수당 90%와 직업훈련비를 추가 지원해주고 고용 보험료 등 납부 기간을 연장해준다. 근로자는 생활안정자금 상환기간 연장과 한도액 인상 등 혜택과 직업 훈련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 협의체는 여수산단만의 특수성이 포함된 고용위기지역 지정 신청안을 마련해 고용노동부에 제출한다는 계획이다.
또 고용노동부의 현지실사에 대비해 기관별 역할, 대응요령, 분야별 객관적 자료 등도 준비할 계획이다.
협의체 고문역을 맡게 된 전남도의회 이광일(민주·여수1) 부의장과 주종섭(민주·여수6) 도의원은 “고용유지가 불안한 중소플랜트 업체 노동자의 고용이 지속되도록 정부 지원사업에 노동계 의견이 충분히 반영되도록 노력해 달라”고 요청했다.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