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지난해 자살·임금체불·학업중단 늘었다
2024년 12월 26일(목) 21:40 가가
시 ‘인권지표 분석·평가’ 결과
교통약자 이동수단 도입율 급락
교통약자 이동수단 도입율 급락
광주지역에서 지난해 자살사망자가 늘었고 임금체불과 학교폭력·학업 중단자도 늘었다.
광주시는 이같은 내용이 담긴 ‘2023년도 인권지표 분석·평가’ 결과를 26일 내놨다.
광주시는 인권보장 및 증진에 관한 조례에 따라 지난해 1~12월 민주인권헌장 5대 영역 18개 분야에 대해 실천 여부를 분석했다.
결과 보고서를 보면 광주시의 인구 10만명당 자살사망자수는 전년(2022년) 25명에서 지난해 27명으로 증가했다.
자살률 자체는 17개 시도 중 12위로 하위권에 속하지만, 최근 전국적으로 자살률이 증가하는 추세에 맞물리면서 사망자 수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광주시는 분석했다.
체불임금 해소율은 전년 98.77%에서 2023년 90.41%로 하락했으며, 사회적경제기업 일자리 수도 4350개에서 3630개로 감소했다.
업무상 사고 사망자 수는 전년과 동일한 18명으로 줄지 않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중·고 학생수 대비 학업 중단자 비율은 전년 0.88%에서 지난해 1.21%로 늘었다. 검정고시, 대안교육기관 선택 등 사유로 학업을 중단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는 것이다.
학교폭력 또한 증가세다. 학생 1000명당 피해 건수는 전년 5.44건에서 5.47건으로 늘었다. 학생 1000명당 상담 건수도 492건에서 524건으로 증가했다.
교통약자를 위한 이동수단 도입률은 10.83%→2.72%로 급락했다. 전용택시를 58대 늘리는 등 이동수단 자체는 늘었으나 지난해 중증보행장애인 선정 기준이 바뀌면서 장애인 수가 1만 9383명에서 2만 7516명으로 늘었기 때문이라는 것이 광주시 설명이다.
장애인권익옹호기관을 통한 장애인 인권침해 상담건수 대비 구제율은 전년 88.56%에서 지난해 84.51%로 4.05%p 감소했다. 총 상담 2266건 대비 1915건 구제됐는데, 구제건수(499건 증가)·상담 건수(667건 증가) 모두 전년 대비 늘었지만 구제율 자체는 줄었다.
개선된 지표도 있었다. 15세 이상 여성 인구 대비 취업률은 52.40%로 전년 대비 2.4%p 상승했으며, 여성 경제활동인구 대비 여성 실업률은 2.00%로 전년 대비 1.2%p 하락했다.
노인치매 조기검진 수검률은 전년 대비 6.08% 증가한 52.80%였으며, 장애여성 출산 후 돌봄지원비율(8.00%→12.5%), 보호대상아동 가정형 돌봄률(55.56%→66.67%), 공공도서관 접근도와 이용률(12.42%→16.06%) 등 지표가 상승했다.
/유연재 기자 yjyou@kwangju.co.kr
광주시는 이같은 내용이 담긴 ‘2023년도 인권지표 분석·평가’ 결과를 26일 내놨다.
광주시는 인권보장 및 증진에 관한 조례에 따라 지난해 1~12월 민주인권헌장 5대 영역 18개 분야에 대해 실천 여부를 분석했다.
자살률 자체는 17개 시도 중 12위로 하위권에 속하지만, 최근 전국적으로 자살률이 증가하는 추세에 맞물리면서 사망자 수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광주시는 분석했다.
체불임금 해소율은 전년 98.77%에서 2023년 90.41%로 하락했으며, 사회적경제기업 일자리 수도 4350개에서 3630개로 감소했다.
교통약자를 위한 이동수단 도입률은 10.83%→2.72%로 급락했다. 전용택시를 58대 늘리는 등 이동수단 자체는 늘었으나 지난해 중증보행장애인 선정 기준이 바뀌면서 장애인 수가 1만 9383명에서 2만 7516명으로 늘었기 때문이라는 것이 광주시 설명이다.
장애인권익옹호기관을 통한 장애인 인권침해 상담건수 대비 구제율은 전년 88.56%에서 지난해 84.51%로 4.05%p 감소했다. 총 상담 2266건 대비 1915건 구제됐는데, 구제건수(499건 증가)·상담 건수(667건 증가) 모두 전년 대비 늘었지만 구제율 자체는 줄었다.
개선된 지표도 있었다. 15세 이상 여성 인구 대비 취업률은 52.40%로 전년 대비 2.4%p 상승했으며, 여성 경제활동인구 대비 여성 실업률은 2.00%로 전년 대비 1.2%p 하락했다.
노인치매 조기검진 수검률은 전년 대비 6.08% 증가한 52.80%였으며, 장애여성 출산 후 돌봄지원비율(8.00%→12.5%), 보호대상아동 가정형 돌봄률(55.56%→66.67%), 공공도서관 접근도와 이용률(12.42%→16.06%) 등 지표가 상승했다.
/유연재 기자 yjyou@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