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너지공대, 총장 공모지침 변경…‘낙하산 인사’ 논란
2024년 12월 04일(수) 20:45 가가
국민의 힘 출신 선임 위해 ‘에너지 전문가 조항’ 삭제 의혹 커져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켄텍) 제 2대 총장 선임 절차가 진행중인 가운데 정부의 ‘낙하산’ 인사 선임 논란<광주일보 12월 4일자 7면>이 일고 있다.
제 2대 총장 후보자 선임 공모 지침이 초대 총장 선임 공모 기준보다 크게 완화되면서 에너지공대 총장으로 친정부적 성향의 인사를 선임하려 한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4일 켄텍에 따르면 ‘제2대 총장 초빙 공고’를 내면서 ‘초대 총장’ 후보자 자격 기준에 견줘 대폭 완화해 초빙 공고를 것으로 확인됐다.
켄텍은 초대 총장 공고와 달리, 2대 총장 초빙 공고를 내면서 후보자 지원 자격으로 에너지 분야 전문성 여부를 전혀 반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대 총장 공고는 ‘에너지 분야를 포함한 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전문지식과 연구 경험을 갖추신 분’ 이라는 규정이 적시된 반면, 이번 총장 초빙 공고에는 해당 조항을 아예 삭제했다.
학교 안팎에서는 해당 조항의 경우 에너지공대를 이끌 총장 후보자 자격 기준 중 가장 중요한 분야로 켄텍 설립 취지인 ‘에너지 분야의 미래 핵심기술 개발 및 관련 분야의 융복합 인재양성’을 위한 필수 기준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켄텍은 그러나 제 2대 총장 초빙 공고에서는 별다른 설명 없이 해당 규정을 삭제, 특정 후보를 염두에 둔 공고라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앞서 최근 열린 ‘켄텍 총장 후보 추천위원회’는 이사회에 추천할 차기 총장 후보로 3명을 압축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는데, 친정부적 성향의 인물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3명의 차기 총장 후보자에는 현 켄텍 총장 직무대행을 맡고 있는 박모 연구부총장, 포항공대 총장을 역임한 김모 씨, 충남대 총장과 국민의 힘 당협위원장 출신 정모씨 등이 거론되고 있다.
특히 3명의 후보자 중 정모 씨의 경우 충남대 총장 이력은 있지만 초대 총장 공모 기준을 적용하면 에너지 분야 전문성을 갖추지 않았다는 점에서 정부의 입김이 반영된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켄텍 총장 선임 과정에서 정부 동의와 승인 절차를 거쳐야 하는 점도 의혹을 더욱 키우고 있다.
켄텍 총장은 경우 이사회가 추천된 총장 후보군 가운데 1명을 선임하면,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 장관의 승인과 교육부 장관의 동의 절차를 거쳐 최종적으로 켄텍 총장에 임용되게 된다.
켄텍 이사회를 구성하는 13명 이사들이 대부분 한전 등 전력그룹사 임원 및 정부 부처 출신 인사 등으로 구성됐고, 정부 부처인 산업부가 켄텍을 직접 감사하고 감독할 수 있다는 점도 의혹을 키우고 있다.
한편, 켄텍은 오는 19일 이사회를 열고 신임 총장 선임 절차에 나설 계획이지만 연말 예산안 등 현안 처리 등으로 오는 2025년 1월로 미뤄질 수 있다는 예측도 나오고 있다.
/장윤영 기자 zzang@kwangju.co.kr
제 2대 총장 후보자 선임 공모 지침이 초대 총장 선임 공모 기준보다 크게 완화되면서 에너지공대 총장으로 친정부적 성향의 인사를 선임하려 한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켄텍은 초대 총장 공고와 달리, 2대 총장 초빙 공고를 내면서 후보자 지원 자격으로 에너지 분야 전문성 여부를 전혀 반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대 총장 공고는 ‘에너지 분야를 포함한 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전문지식과 연구 경험을 갖추신 분’ 이라는 규정이 적시된 반면, 이번 총장 초빙 공고에는 해당 조항을 아예 삭제했다.
앞서 최근 열린 ‘켄텍 총장 후보 추천위원회’는 이사회에 추천할 차기 총장 후보로 3명을 압축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는데, 친정부적 성향의 인물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3명의 차기 총장 후보자에는 현 켄텍 총장 직무대행을 맡고 있는 박모 연구부총장, 포항공대 총장을 역임한 김모 씨, 충남대 총장과 국민의 힘 당협위원장 출신 정모씨 등이 거론되고 있다.
특히 3명의 후보자 중 정모 씨의 경우 충남대 총장 이력은 있지만 초대 총장 공모 기준을 적용하면 에너지 분야 전문성을 갖추지 않았다는 점에서 정부의 입김이 반영된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켄텍 총장 선임 과정에서 정부 동의와 승인 절차를 거쳐야 하는 점도 의혹을 더욱 키우고 있다.
켄텍 총장은 경우 이사회가 추천된 총장 후보군 가운데 1명을 선임하면,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 장관의 승인과 교육부 장관의 동의 절차를 거쳐 최종적으로 켄텍 총장에 임용되게 된다.
켄텍 이사회를 구성하는 13명 이사들이 대부분 한전 등 전력그룹사 임원 및 정부 부처 출신 인사 등으로 구성됐고, 정부 부처인 산업부가 켄텍을 직접 감사하고 감독할 수 있다는 점도 의혹을 키우고 있다.
한편, 켄텍은 오는 19일 이사회를 열고 신임 총장 선임 절차에 나설 계획이지만 연말 예산안 등 현안 처리 등으로 오는 2025년 1월로 미뤄질 수 있다는 예측도 나오고 있다.
/장윤영 기자 zzang@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