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과거 국립의대설립 용역 결과 공개…순천, 이제 공모 참여해라
2024년 05월 13일(월) 17:30 가가
전남도가 편향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는 점을 들어 공개하지 않았던 과거 전남 국립 의대 관련 용역을 전격 공개했다. 그동안 용역 결과 공개를 ‘전남도의 국립의대 신설 공모’ 참여의 전제 조건으로 요구해온 순천시와 순천대의 입장 변화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남도는 13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지난 2021년 4~12월까지 진행된 ‘전남도 국립의대 및 부속병원 설립·운영 방안 연구’ 용역 결과를 공개했다. 전남도는 홈페이지와 정책연구관리시스템에도 올려 누구나 살펴볼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서울시립대 산학협력단이 진행한 연구 용역에는 전남지역 의료서비스 등 의료 환경을 분석하면서 의대 설립 방안, 부속병원 비용효과 분석, 도민요구도 조사 결과 등이 담겼다.
구체적으로는 부속병원 설립에 따른 경제성 분석 결과, 두 지역(서부권 1.44, 동부권 1.35) 모두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도는 당시 연구 용역의 경우 문재인 정부 때인 2021년 ‘의대 없는 지역에 의대 신설’을 추진하겠다는 약속에 따라 ▲전남지역 의대 신설의 당위성을 마련, 정부 설득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추진한 점 ▲현재 여건과 다르고 세부 용역 결과를 놓고 편향적으로 해석해 지역 갈등을 부추길 수 있다는 점등을 들어 비공개 방침을 밝혀왔다.
예를 들면 치료가능사망률의 경우 서부권(49.9명)이 동부권(35.7명)보다 높고, 증중응급환자 유출률도 서부권(38.7%)이 동부권(34.3%)보다 높았다. 반면, 심혈관환자 의료이용률은 인구가 많은 동부권(66.0%)이 서부권(50.9%)보다 높았고 고위험임신 의료이용률도 동부권(77.7%)이 서부권(62%)보다 높았다는 점에서 지역 유불리에 맞춰 해석될 수 있다는 게 전남도 입장이다.
순천시와 순천대 등은 그러나 전남도의 용역 결과 비공개와 관련, “용역 결과가 특정 지역에 유리한 내용을 담고 있다면 의대 설립 문제를 공모에 부치는 것 자체가 기울어진 운동장이 될 수밖에 없다”며 결과 공개를 요구해왔다.
이들은 특히 전남도의 의대 신설 공모 참여를 위한 첫째 조건으로 “모든 용역 결과를 우선 빠짐없이 공개하라”고 요구했다.
전남도 관계자는 이에 따라 “일부에서 제기한 용역 결과에 대한 의혹을 해소할 필요성이 발생했고 정부가 이달 확정하는 대입전형 시행계획에 ‘오는 2026학년도 전남 국립의대 신설 정원(200명)’이 배정돼야 하는 중요한 시기인 만큼 순천·목포시와 양 대학 공동 협력이 절실하다고 판단해 용역 결과를 공개했다”고 말했다.
전남도는 이날 과거 연구 용역 결과를 공개했고 나머지 2개 제안 ▲공모 과정의 모든 문제를 합의를 거쳐 투명하게 공개하고 도민 동의를 얻어 진행할 것 ▲공모 탈락한 지역에 대한 대책을 제시할 것 등의 경우 대화 과정에서 반영될 수 있다는 점을 들어 순천의 공모 참여 여건이 마련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전남도는 이에 따라 조만간 목포·순천시, 목포·순천대, 전남도가 참여하는 5자 회동을 조만간 재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전남도 관계자는 “이제는 더 이상의 오해와 지역 갈등을 야기하는 행동 대신, 지역의 30년 숙원인 전남 국립 의대 설립이 실현될 수 있도록 대학과 지역 모두 힘과 지혜를 모아달라”고 당부했다.
/김지을 기자 dok2000@kwangju.co.kr
구체적으로는 부속병원 설립에 따른 경제성 분석 결과, 두 지역(서부권 1.44, 동부권 1.35) 모두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순천시와 순천대 등은 그러나 전남도의 용역 결과 비공개와 관련, “용역 결과가 특정 지역에 유리한 내용을 담고 있다면 의대 설립 문제를 공모에 부치는 것 자체가 기울어진 운동장이 될 수밖에 없다”며 결과 공개를 요구해왔다.
이들은 특히 전남도의 의대 신설 공모 참여를 위한 첫째 조건으로 “모든 용역 결과를 우선 빠짐없이 공개하라”고 요구했다.
전남도 관계자는 이에 따라 “일부에서 제기한 용역 결과에 대한 의혹을 해소할 필요성이 발생했고 정부가 이달 확정하는 대입전형 시행계획에 ‘오는 2026학년도 전남 국립의대 신설 정원(200명)’이 배정돼야 하는 중요한 시기인 만큼 순천·목포시와 양 대학 공동 협력이 절실하다고 판단해 용역 결과를 공개했다”고 말했다.
전남도는 이날 과거 연구 용역 결과를 공개했고 나머지 2개 제안 ▲공모 과정의 모든 문제를 합의를 거쳐 투명하게 공개하고 도민 동의를 얻어 진행할 것 ▲공모 탈락한 지역에 대한 대책을 제시할 것 등의 경우 대화 과정에서 반영될 수 있다는 점을 들어 순천의 공모 참여 여건이 마련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전남도는 이에 따라 조만간 목포·순천시, 목포·순천대, 전남도가 참여하는 5자 회동을 조만간 재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전남도 관계자는 “이제는 더 이상의 오해와 지역 갈등을 야기하는 행동 대신, 지역의 30년 숙원인 전남 국립 의대 설립이 실현될 수 있도록 대학과 지역 모두 힘과 지혜를 모아달라”고 당부했다.
/김지을 기자 dok2000@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