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전방·일신방직터 개발사업 스톱
2024년 05월 12일(일) 20:05 가가
“교통난 해소 근본대책 마련이 우선”
교통영향평가위 재심의
7개 항목 보완책 마련 수정 의결
교통영향평가위 재심의
7개 항목 보완책 마련 수정 의결
고질적인 교통난에 가로막힌 옛 전방·일신방직터 개발을 위한 교통영향평가 재심의에서 7개 항목의 교통보완책을 마련하라는 수정 의결안이 나왔다.
광주시 교통영향평가심의위원회(이하 평가위)는 지난 10일 회의를 열고 옛 전방·일신방직터 개발 계획과 관련해 7가지 항목의 교통 보완책을 마련하라며 수정 의결했다.
평가위는 사업자 측이 제출한 교통 대책이 미흡하다는 판단에 따라 교통량 분산 기능을 담당할 우회도로를 개설하고, 사업지를 관통하는 35m 폭의 차로의 건축선을 후퇴하는 이른바 셋백(Set Back·건축선 후퇴) 구간 확보를 제안했다. 또 광주천을 지날 수 있는 교량 시설도 요청했다.
7개 항목의 교통 보완책을 제안받은 사업자측은 난감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선 사업면적 등을 축소해야하는 셋백구간 확보는 광주시 도시계획·건축 공동위원회가 지난해 광주신세계백화점 확장 사업에서도 요구했던 방식으로, 광주신세계측이 한 달여의 고민 끝에 1년 넘게 준비한 사업계획을 포기했을 정도로 개발업체 입장에선 받아들이기 힘든 사안 중 하나다.교량 등 교통량 분산을 위한 교량 등 추가 도로 개설 관련 사업비 수백억원을 누가 부담하느냐도 논란이 되고 있다.
사업자 측은 옛 전방·일신방직터 개발 사전협상에 따라 5899억을 이미 공공기여로 내겠다고 밝힌 만큼 광주시에서 부담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광주시는 공공기여금과 교통영향평가는 다른 사안이라며 사업자측 부담을 주장하고 있다.
교통영향평가위 다음 심의는 다음달 셋째주 목요일로 예정돼 있으며, 사업자측이 평가위의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또 다시 재심의 절차를 밟아야 하는 등 사업 차질이 불가피하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
광주시 교통영향평가심의위원회(이하 평가위)는 지난 10일 회의를 열고 옛 전방·일신방직터 개발 계획과 관련해 7가지 항목의 교통 보완책을 마련하라며 수정 의결했다.
7개 항목의 교통 보완책을 제안받은 사업자측은 난감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교통영향평가위 다음 심의는 다음달 셋째주 목요일로 예정돼 있으며, 사업자측이 평가위의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또 다시 재심의 절차를 밟아야 하는 등 사업 차질이 불가피하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