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간 갈등 부추기는 ‘갈라치기’ 지양해야
2023년 08월 02일(수) 00:00
광주·전남 정치권과 지자체에서 핵심 현안을 놓고 서로의 이익에 따라 지역 간 갈등과 대립을 부추기는 듯한 행태가 잇따라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남도의회 신민호 의원은 지난달 임시회 기간 중 열린 기획조정실 업무 보고 과정에서 “광주·전남 공동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의 지역 인재 채용 비율은 광주(지역 대학) 출신이 88%, 전남 출신은 단 12%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신 의원은 이처럼 지역 인재 체용제에도 불구하고 전남은 상대적으로 소외되고 있다며 전남 몫을 사수할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할 것을 주문했다. 이러한 주장은 전남 출신 인재가 광주 소재 대학을 졸업한 뒤 혁신도시 공공기관에 취업한 경우가 적지 않은데도 지역 인재 범위를 너무 협소하게 설정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상생을 기반으로 한 광주·전남 공동 혁신도시 조성 취지를 외면한 채 지역을 갈라치기 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된다.

전남 지역 국립 의대 설립은 아직 확정조차 되지 않았음에도 전남도의회를 중심으로 순천과 목포에서 경쟁적으로 유치 토론회를 열면서 소지역주의를 부추기는 현안으로 꼽히고 있다. 광주 군 공항·민간 공항 이전과 무안국제공항 활성화 문제도 지역 이기주의로 인해 갈등만 반복하며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지역의 싱크탱크인 광주·전남발전연구원이 통합 운영 12년 만에 끝내 재분리된 것도 ‘초광역 협력’ 추세에 어긋난다.

이웃한 자치단체끼리 협력을 외면하고 자기 지역의 작은 이익만 고집하며 경쟁과 갈등을 조장하는 것은 소탐대실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이는 지역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더욱이 광주와 전남은 천년 역사를 함께하며 의향의 대의를 지켜 온 한 뿌리 공동체이다. 현시대의 대의는 상생을 바탕으로 한 지역 발전과 미래 개척이다. 광주·전남 지자체와 지방의회는 눈앞의 이익을 탐하기보다 양 지역 공동 발전을 위한 지혜를 모으고 공감대를 확산시키는 데 힘을 쏟아야 할 것이다.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