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 ‘뱅크런’ 진정세… 자금 이탈 하룻새 1조 줄어
2023년 07월 09일(일) 19:00 가가
정부대응단, 사태 진화 총력전…부실 금고·연체율 급등 문제 정리 착수 예정
새마을금고가 올해 들어 연체율이 급등하면서 부실 논란에 휩싸이자, 자금 회수에 나서는 지역민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광주일보 보도<광주일보 7월 7일자 9면>와 관련, ‘뱅크런’ 사태 진화에 나선 범정부 총력전에 이탈세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장 하루 사이 인출 규모가 1조원 가량 줄어들었고 고객들로 붐볐던 영업점들도 한산한 분위기를 보였다. 이런 분위기가 계속될 경우 사태가 예상보다 일찍 진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범정부 대응단은 고객 동요가 수그러들면, 이번 사태의 발단인 부실 금고 정리작업과 연체율 급등 문제 정리에도 착수할 예정이다.
9일 행정안전부와 금융위원회 등 ‘범정부 대응단’에 따르면 주말 전 마지막 영업일이었던 지난 7일 새마을금고 자금 이탈이 감소세로 전환됐다.
정부 관계자는 “지난 목요일 오후부터 인출 증가세가 둔화했으며, 금요일 인출 규모는 전날(목요일)보다 1조원 정도 줄었다”고 말했다.
새마을금고 위기설이 커진 지난주 내내 확대 분위기던 자금 이탈 규모가 지난 7일 처음 감소세로 전환한 것이다.
이런 분위기는 광주지역 새마을금고 영업점에서도 찾아볼 수 있었다. 지난 6일까지만 해도 예·적금 중도해지 및 관련 상담을 받기 위해 붐볐던 광주시 서구 한 새마을금고 영업점은 다음날인 지난 7일에는 눈에 띄게 한산한 모습이었다.
해당 영업점 관계자는 “간혹 관련 문의를 위한 전화는 오고 있으나 예금을 해지하려는 고객들은 크게 줄었다”며 “예금 해지를 문의하러 온 고객들도 상담을 받은 뒤에는 그냥 돌아가곤 한다”고 했다.
정부가 각종 대책을 발표하면서 ‘정부를 믿어달라’, ‘안심해도 좋다’는 정부 고위 관계자들의 잇따른 메시지가 효과를 본 것으로 풀이된다.
이밖에 중도 해지 고객들의 재예치 규모도 증가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 1일 0시부터 6일 자정까지 중도해지 한 새마을금고 고객 중 오는 14일까지 재예치를 신청한 경우 당초 약정 이자를 복원하고 비과세 혜택도 유지하겠다는 ‘비상 대책’을 내놓은 바 있다. 지난 7일 하루에만 중도 해지자의 재예치 건수는 3000건이 넘는 것으로 파악됐다.
김용철 MG동명새마을금고 이사장은 “영업점을 찾는 고객들에게 안전하니 출금하지 말라고 설명을 했고, 7일부터 확실히 고객들의 불안이 감소한 것 같았다”며 “중도 해지로 인한 손해를 감수할 정도가 아니라고 여긴 고객들은 다시 재예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는 불안 심리로 인한 과도한 자금 유출이 잦아들면 근본적인 건전성 강화 대책 및 관리 체계 정비를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급등한 연체율이 ‘불안의 고리’로 이어졌다는 판단 아래 부실채권 매각 및 연체율 감축을 추진한다. 행안부는 연체율 상위 금고 100곳을 대상으로 감축 목표치 및 이행 현황을 주 단위로 점검할 계획이다.
부실채권(NPL) 매각 규모도 키운다. 당초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를 통한 부실채권 매수 규모는 1000억원이었으나 5000억원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새마을금고도 금고별 매각 활성화를 위해 부실채권 업체 요건을 완화하는 방향의 내규 개정을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내규상 매각 가능한 대부업체 요건을 현행 자본금 50억원에서 10억원으로 완화할 경우 매각 가능 업체 수는 67개에서 196개로 늘어난다.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
9일 행정안전부와 금융위원회 등 ‘범정부 대응단’에 따르면 주말 전 마지막 영업일이었던 지난 7일 새마을금고 자금 이탈이 감소세로 전환됐다.
새마을금고 위기설이 커진 지난주 내내 확대 분위기던 자금 이탈 규모가 지난 7일 처음 감소세로 전환한 것이다.
해당 영업점 관계자는 “간혹 관련 문의를 위한 전화는 오고 있으나 예금을 해지하려는 고객들은 크게 줄었다”며 “예금 해지를 문의하러 온 고객들도 상담을 받은 뒤에는 그냥 돌아가곤 한다”고 했다.
정부가 각종 대책을 발표하면서 ‘정부를 믿어달라’, ‘안심해도 좋다’는 정부 고위 관계자들의 잇따른 메시지가 효과를 본 것으로 풀이된다.
이밖에 중도 해지 고객들의 재예치 규모도 증가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 1일 0시부터 6일 자정까지 중도해지 한 새마을금고 고객 중 오는 14일까지 재예치를 신청한 경우 당초 약정 이자를 복원하고 비과세 혜택도 유지하겠다는 ‘비상 대책’을 내놓은 바 있다. 지난 7일 하루에만 중도 해지자의 재예치 건수는 3000건이 넘는 것으로 파악됐다.
김용철 MG동명새마을금고 이사장은 “영업점을 찾는 고객들에게 안전하니 출금하지 말라고 설명을 했고, 7일부터 확실히 고객들의 불안이 감소한 것 같았다”며 “중도 해지로 인한 손해를 감수할 정도가 아니라고 여긴 고객들은 다시 재예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는 불안 심리로 인한 과도한 자금 유출이 잦아들면 근본적인 건전성 강화 대책 및 관리 체계 정비를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급등한 연체율이 ‘불안의 고리’로 이어졌다는 판단 아래 부실채권 매각 및 연체율 감축을 추진한다. 행안부는 연체율 상위 금고 100곳을 대상으로 감축 목표치 및 이행 현황을 주 단위로 점검할 계획이다.
부실채권(NPL) 매각 규모도 키운다. 당초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를 통한 부실채권 매수 규모는 1000억원이었으나 5000억원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새마을금고도 금고별 매각 활성화를 위해 부실채권 업체 요건을 완화하는 방향의 내규 개정을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내규상 매각 가능한 대부업체 요건을 현행 자본금 50억원에서 10억원으로 완화할 경우 매각 가능 업체 수는 67개에서 196개로 늘어난다.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